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오종찬특증문서 / 吳鍾瓚特增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증이조참의 오종찬(吳鍾瓚)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순종실록》의 기사에는 오종찬은 학문이 연원이 있다고 하면서 정2품 규장각제학에 추증하라는 순종이 명이 있다.

  • 오주 / 五呪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에서 쓰는 주문. 짤막한 주문 다섯 개를 하나로 묶은 것으로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오주이고, 또 하나는 오주를 수련하는 데 쓰이는 수련용의 오주이다.

  • 오준선 / 吳駿善 [종교·철학/유학]

    1851-1931. 한말의 성리학자. 전라남도 광산에서 출생하였다. 기정진의 문인이다. 기호학파의 문인들과 폭넓게 교유하였다. 1894년 동학혁명이 발생하자 정통도학의 입장에서 향약을 시행하여 일반 백성들이 동학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노력했다. 1917년 이후에는 용진정

  • 오지영 / 吳知泳 [종교·철학/천도교]

    미상∼1950년. 조선 말기 동학농민운동과 1920년 이후 천도교 혁신운동 지도자. 1894년(고종 21)의 동학농민운동 당시 양호도찰이라는 중책을 담당하였다. 1905년 손병희에 의하여 천도교로 선포된 이후에는 총부에서 최고간부의 한 사람으로 초기의 기틀을 닦는 데

  • 오진우 / 吳振宇 [정치·법제/정치]

    1917∼1995년 2월 25일. 일제 강점기 항일연합군·사회주의운동가. 1933년 항일유격대 대원으로 입대. 1935년 6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제5단 대원 소속으로서 북만원정에 가담하였다. 1954년 인민군 제3사단장, 1961년 노동당 중앙위원, 1967년 인민

  • 오천향교 / 鰲川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교성리에 있는 향교. 1901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건물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7호로 지정되어 있는 대성전뿐이며, 부속건물은 없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

  • 오카모토 류노스케 / 岡本柳之助 [정치·법제/외교]

    1852-1912. 일본 육군 대위. 한국 군부 고문관. 명성황후 시해 주도. 1895년 10월 8일 새벽1시 오카모토는 대원군을 찾아가 새벽 3시 공덕리를 출발했고 새벽 4시 30분경 추성문에 도착한 오카모토는 5시 일본 자객을 총 지휘해서 건청궁으로 침입하였다. 오

  • 오코너 / Nicholas Roderick O'Conor [정치·법제/외교]

    1843-1908. 조선 주재 영국공사. 1892년 4월부터 1895년 10월 재임. 3대 조선 주재 공사로 임명된 오코너는 1866년 외무부 직원으로 들어가서 외교관의 길을 걸었다. 1870년 3등 서기관이 되었다. 1874년 미국 대사관 2등 서기관이 되었고, 18

  • 오토리 게이스케 / 大烏圭介 [정치·법제/외교]

    1832-1911. 외교관. 청국 주재 특명전권공사. 조선공사. 추밀원 고문. 1889년 청국 주재 특명전권공사가 되었고, 1890년에는 조선 공사도 겸임하였다. 1893년 조선에 도착하여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894년 8월 20일 조선정부를 위협하여 잠정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