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총 2,75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의인 / 宜仁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안덕현(安德縣)의 지도보부곡(知道保部曲)이었는데, 1369년(공민왕 18) 의인현(宜仁縣)으로 승격시켜 안동부의 속현으로 하였다가, 1390년(공양왕 2) 예안군(禮安郡)에 이속시켰다. 그 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예안군이 안
의주 / 宜州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문천 지역의 옛 지명. 원래 고구려의 천정군(泉井郡, 또는 於乙買)이었는데, 문무왕 때 신라에 예속되었다. 757년(경덕왕 16) 정천군(井泉郡)으로 바꾸어 삭주(朔州)에 예속시켰고 송산(松山)ㆍ산산(蒜山)ㆍ유거(幽居)의 3개 현을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9
의주 / 義州 [지리/자연지리]
지명. 고려 예종(睿宗) 때에 내원성과 포주를 귀속시켜 포주를 의주(義州)로 개칭. 공민왕(恭愍王) 15년(1366)에 의주목(義州牧)으로 삼고, 공민왕(恭愍王) 18년에는 여기에 만호부를 두었던 것이 조선왕조에 이어졌다. 의주(義州)는 ‘일국의 서문’으로 명사(明使)
의주군 / 義州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북서단에 위치한 군. 동쪽으로는 삭주군·구성군, 남쪽으로는 용천군·철산군·선천군, 북서쪽으로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만주지방)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경 124°20′∼ 125°02′, 북위 39°55′∼ 40°28′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 1,677
의주로 / 義州路 [지리/인문지리]
한성(漢城)에서 의주를 연결하는 조선 시대의 간선로. 조선 시대 9대 간선로 중 가장 중요한 도로의 하나로 총 연장 약 1,080리의 교통 통신로였다. 이는 역원제(驛院制)가 국지적으로 실시되던 고구려 시대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실시된 고려 시대에 그 기반
의주원앙새살이터 / 의주원앙새살이터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의주군 대화리에 있는 원앙새서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406호. 대화리에서 압록강 기슭을 따라 올라가면 가마리비탈의 경사면 앞 강에서 원앙의 무리가 서식한다. 가마리비탈 앞에는 압록강 줄기가 갈라져 내려오면서 수구도라는 섬이 있는데, 이 섬에도 많은 원앙들이
의주재비둘기서식지 / 의주재비둘기서식지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읍에 있는 비둘기서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95호. 의주읍에서 덕현 방향으로 약 2㎞되는 곳에 용운산이 있는데, 산의 북쪽 기슭에 비둘기번식지인 바위절벽이 있다. 비둘기가 번식하는 용운산은 높이가 80m이고 산 정상에는 관서팔경의 하나인 통군정이 있
의항운하 / 蟻項運河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신온리와 안면읍 창기리에 있는 운하. 고려 인종 때에 태안반도에 굴포를 개착할 계획을 세우고 착공하였으나 총 17리 거리에 10리를 완성, 불과 7리를 남겨두고 중지하였다. 그 뒤 조선 세조 때에도 삼남지방의 세미(稅米) 수송을 위하여 운하를 건설
의흥 / 義興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군위 지역의 옛 지명. 의흥(義興)은 신라 때 구산현(龜山縣) 지역이었고, 고려 때 구산현과 부계현(缶溪縣)을 병합해 의흥군이 되었다. 이후 조선 1413년(태종 13)에 의흥현(義興縣)이 되었고 1895년(고종 32)에 대구부 소속 의흥군(義興郡)이 되었다.
이도구 / 二道溝 [지리/인문지리]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현에 위치한 항일투쟁지. 이도구(二道溝)는 1910∼20년대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의 방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하는 이도구사건(二道溝事件)이 발생한 지역이다. 또한 한국 독립운동사의 금자탑과 같은 청산리대첩(靑山里大捷)이 전개된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