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흥운대리지석묘 / 高興雲袋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총 4기가 발굴되었는데, 내부구조는 모두 지하에 판상(板狀)의 할석을 차례로 겹쳐 쌓아 네 벽과 바닥을 가진 돌널을 만든 것이고 유물은 전혀 없었다. 또한, 이 지석묘들과 가까운 지점에서 하나의 돌널무덤이 조사

  • 고흥유둔리덕암지석묘군 / 高興油屯里德岩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유둔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전라남도 기념물 제159호. 남방식과 개석식이 혼재되어 있고 지석묘군의 한 가운데에 높이 376㎝, 너비 205㎝, 두께 62㎝에 달하는 입석이 있는데, 지석묘들은 이 입석을 중심으로 둥그렇게 배치되어 있는

  • 고흥이충무공친필첩자 / 高興李忠武公親筆帖子 [예술·체육/서예]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 장군이 흥양(興陽)의 의병장 신군안(申君安)에게 내린 친필 첩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4호. 전남 고흥군 두원면 대전리 91번지 고령신씨 종중에 보관되어 있다.이 첩자는 전시체제 아래 왕명에 따라 수군통제사가 직권으로 발

  • 고흥장수리지석묘 / 高興長水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장수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이 고인돌은 13기가 분포되어 있는데, 1962년부터 시작된 해창만 간척공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저수지[長水堤]공사로 수몰되기에 이르러, 1984년 그 중 비교적 보존상태가 좋은 10기를

  • 고흥중산리지석묘군 / 高興中山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중산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47기가 모여 있는 중산 지석묘 나군에는 지석묘군의 가운데 지점에 입석 1기가 있기 때문에 현지에서는 이 일대를 ‘선돌백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지석묘와 선돌이 공존하는 유적은 드문 편이다. 고흥반도에는 128

  • 고흥향교 / 高興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행정리에 있는 향교. 1441년(세종 2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고흥현 서문(西門) 밖에 창건되었다. 정유재란 때 병화로 소실되었다가 1695년 유생 강익무(姜翊武)·치무(致武)

  • 고희동 / 高羲東 [예술·체육/회화]

    현대의 화가(1886∼1965).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다. 남종화에 서양화적 색채와 명암법 등을 접목, 새로운 화풍을 개척했다. 대한미술협회장, 초대 대한민국예술원장 등을 지냈고, 서울시문화상을 받았다. 한국 최초 미술지《서화협회보》를 창간했다.

  • 곡강루기우 / 曲江樓奇遇 [언론·출판]

    작자 미상.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46장이다. 이 책에는 다양한 장르의 글이 실려 있는데, 소설, 한시, 사장, 우언, 소지 등 그 형식도 다양하다. 이 책에 실린 작품 중 <상사동전객기>를 제외한 나머지 작품은 아직까지 소개된 적이 없는 전혀 새로운 것들이다.

  • 곡구리백리향군락 / 谷口里百里香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이원군 곡구리에 있는 백리향 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291호. 백리향 군락은 곡구역에서 북쪽으로 약 1.5㎞정도 떨어진 속새산에 퍼져 있다. 속새산에는 아까시나무·노간주나무·싸리나무 등 관목류와 더불어 새초류, 느삼 등의 초본류가 자라고 있

  • 곡구원기 / 谷口園記 [종교·철학/유학]

    곡구원 정상관의 문집으로 총 10권 5책. 목판본. 1928년 증손 정동범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정동범의 발문이 있다. 시 가운데 「조령용추」는 조령을 넘으면서 폭포와 용추의 웅장한 경관을 노래한 것이며,「도담」역시 서경시로 만경의 푸른 물결 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