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송요보 / 宋堯輔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본관은 은진. 조부는 송광식, 부친은 목사 송병익이다. 관직은 서윤에 이르렀다. 성품이 효성스럽고 우애있으며 자상하였다. 정력이 다른 사람보다 뛰어났다. 일에 응함에 민첩하여 더욱 아전의 일에 뛰어났다. 스스로를 받드는 것은 간략하고 검소하여 담박하여

  • 송요좌 / 宋堯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8∼1723). 해서를 잘 썼으며 항상《소학》으로 자신을 검속하여 조금도 어긋나지 않았다. 부모의 상에 추워도 문을 달지 않았으며 더워도 부채질을 하지 않았다. 1721년(경종 1) 신축년 사화가 나자 관직을 그만두고 귀향하였다.

  • 송월재집 / 松月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시선의 시문집. 7권 3책. 목판본. 1763년(영조 39) 이시선의 손자 이인산·이인실·이인구 등의 주선으로 이광정의 편집을 거쳐 간행되었다. 1748년에 쓴 이광정과 정범조의 서문, 간행 당시에 쓴 이익의 발문이 있다. 권1∼5는 하화편이라는 제

  • 송유식 / 宋儒式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88∼1768). 아버지는 후갑, 어머니는 김담령의 딸이다. 1726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를 제수 받고, 사정·전적·사헌부감찰·이조좌랑 등을 거쳐서 무안현감·영양현감을 역임하였으며, 1762년 통정대부로서 호군이 되었다. 관직에서 물

  • 송응상 / 宋應祥 [종교·철학/유학]

    1524년(중종 19)∼1586년(선조 19). 쌍청당 5대손, 송세영의 맏아들로 1524년(중종 19) 3월 3일 대전 동구 송촌에서 태어났다. 타고난 성품이 영오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그 아우인 송응서와 함께 동주 성제원의 문하에서 공부하여 크게 이루었다. 광해 조에

  • 송익수 / 宋翊洙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송시영의 후손으로 송흠석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영민하고 용모가 단정하였다. 과목마다 번거롭게 감독하지 않아도 스스로 독서할 줄을 알았으며, 과거 공부를 그만두고 강재의 문하에 나아가 공부하였다.『심경』‧『근사록』을 가까이 두고 읊으며 책 읽기를 게을리하

  • 송익필 / 宋翼弼 [종교·철학/유학]

    1534-1599. 조선 선조 때의 유학자. 관직에는 오르지 않았고 고양의 구봉산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이와 기는 서로 독립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선후로 나눌 수도 없다고 하였다. 사단과 칠정을 모두 정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기호

  • 송인 / 宋寅 [종교·철학/유학]

    1517(중종 12)∼1584(선조 17). 조선 전기의 학자. 질 손자, 지한 아들, 어머니는 의령남씨이다. 어려서 어머니가 죽자 외가에서 자랐다.10세에 중종의 셋째 서녀인 정순옹주와 결혼하여 여성위가 되고, 명종 때 여성군에 봉해졌다. 의빈부·충훈부·사옹원·상의원

  • 송인명 / 宋寅明 [종교·철학/유학]

    1689(숙종 15)∼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시철의 증손, 할아버지는 광연, 아버지는 징오, 어머니는 이단상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을 거쳐 동부승지, 이조판서,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

  • 송인박 / 宋寅鏷 [종교·철학/유학]

    1861-1945. 고조는 희윤, 증조는 상근, 조는 심환이다. 어려서 족조인 송운찬에게 나아가 운찬의 아들 재관과 함께 수학하여 경사를 익히고, 시재가 있어서 권상한으로부터 당인의 풍조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선배인 김노수, 권세연, 신석정, 김동진등과 교의가 있었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