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오경석 / 吳慶錫 [역사/근대사]
조선 후기의 개화사상가·역관·서화가·금석학자(1831∼1879). 13차례나 역관으로 중국을 내왕하면서 《해국도지》·《영환지략》·《박물신편》을 비롯한 다수의 신서를 구입해 연구, 개화사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1870년 초부터는 박규수의 사랑방에서 박영교·김
오관 / 五款 [종교·철학/천도교]
천도교의 교인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기본의무. 주문(呪文), 청수(淸水), 시일(侍日), 성미(誠米), 기도(祈禱) 등의 다섯 가지 수도조목(修道條目)이다.
오긍선 / 吳兢善 [과학기술/의약학]
1879년(고종 16)∼1963년. 의학자‧사회사업가. 자는 중극(重克), 호는 해관(海觀),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1902년 미국유학을 하여 센트럴대학 교양학부를 수료하고, 켄터키주 루이빌의과대학에서 수학하고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12년 한국인 교수로는 처음
오기호 / 吳基鎬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의사(1863∼?). 1905년 포츠머드강화회의에 참석하고자 했으나 이루지 못하여, 일본으로 건너가 이토·오쿠마·모치즈키 등에게 한국의 독립보장을 역설하였다. 을사오적 암살계획을 세웠으나 실패하였으며, 대종교를 창도하여, 민족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오대징 / 吳大澂 [정치·법제/외교]
1835-1902. 중국 청말 청류파 관료. 1884년 5월 흠차회판북양사의 로 임명되어 당시 직예총독으로 북양대신이었던 이홍장과 더불어 북경의 치안과 중국 화북지역의 방위책임자가 되었다. 오대징은 경복궁의 편전에서 고종과 제1차, 2차 회견을 갖고 필답을 했다. 이후
오도가 / 吾道歌 [문학/고전시가]
1908년이태일(李泰一)이 지은 가사. 제목에 보이는 오도(吾道)는 유교를 가리키며, 불교·도교·기독교(천주교) 등의 교리가 모두 허망하고 가련한 이단(異端)이라 비판하면서, 유교의 정당성을 역설한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총 264구로 되어 있고 4·4조가 기조를 이룬
오류동광산 / 梧柳洞鑛山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부천시 남구 옥길동에 있었던 인상흑연광산(鱗狀黑鉛鑛山). 운모편암(雲母片岩)·호른펠스·각섬편암(角閃片岩)·규암(硅岩) 등이 비교적 많고, 하부는 백색 규암으로 된 연천통(漣川統)이 분포하고 있는 화강편마암층에서 산출된다. 오류동에서 안산시로 통하는 도로에서 시흥
오백년기담 / 五百年奇譚 [문학/구비문학]
최상의가 180편의 단편 일화들을 수록하여 편찬한 야담집. 1913년 개유문관(皆有文舘), 1916·1917년 광학서포(廣學書鋪), 1919년 신구서림(新舊書林), 1923년 박문서관(博文書舘)에서 간행되었다. 총 180편의 단편 일화들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시대순
오붕진특증문서 / 吳鵬振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증이조참판 오붕진(吳鵬振)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순종실록》의 기사에는 오붕진이 학식과 행실이 뛰어나니 정2품 규장각제학에 추증하라는 순종의 명이 있다.
오선기봉 / 五仙奇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영웅소설에 속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구운몽」과 같은, 일부다처주의적인 결연과정과 남녀 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상을 그린 영웅소설이자 여걸소설이다. 황태을이 현천홍과 결연하는 과정이나, 현천홍이 반란을 진압하고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