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헌집 / 顧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덕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1935년 그의 형 도련(道鍊) 등에 의해 교정, 편집되어 경주의 신계서실(薪溪書室)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현필(崔鉉弼)의 서문과 권말에 최해천(崔

  • 고현동각 / 古縣洞閣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정극인이 건립한 강학당.향학당(鄕學堂)·교육시설. 고현동각은 조선시대 태인(泰仁) 오학당 가운데의 하나로, 남학당에서 유래하였으며, 남학당은 향학당에서 비롯되었다. 향학당은 1475년(성종 6)정극인(丁克仁)이 설치하여 청소

  • 고현성 / 古縣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거제시에 있는 조선전기 석축 성곽.성곽터. 시도기념물. 경상남도 기념물 제46호. 거제도는 우리 나라에서 제주도 다음가는 큰 섬으로 동쪽으로는 부산 가덕도(加德島)가 있으며, 북쪽은 진해만(鎭海灣)에 면하고, 남쪽은 현해탄(玄海灘)을 사이에 두고 대마도(對馬島

  • 고형림 / 高亨林 [역사/근대사]

    1907년∼1975년.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예천 출신.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가 대판(大阪)·나고야(名古屋) 등지에서 노동에 종사하다가 사진기술을 배워 귀국한 뒤 한때 예천군 농회(農會)지도원으로 있었다. 생활난으로 1939년 8월 만주 안동성(安東省)으로 이주,

  • 고환당집 / 古歡堂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문인 강위(姜瑋)의 문집. 21권 5책. 『고환당수초(古歡堂收草)』 17권 3책에 4권 2책을 합본한 책으로 ‘추금집(秋琴集)’이라고도 한다. 당대의 석학 이건창(李建昌)이 교정하고 정만조(鄭萬朝)가 편집하였다. 시고(詩稿)에는 정건조(鄭建朝)·이건창의

  • 고환록 / 古懽錄 [언론·출판]

    저자 왕사진(1634-1711). 목판본. 8권 3책. 책의 구성은 8권 3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1책은 청나라 송락, 왕사진, 주종연의 서문과 함께 권1-3이 차례로 실려 있고, 2책은 권4-5가 있다. 3책은 권6-8이 있다. 서문에는 '강희삼십구년경진(1700)

  • 고횡 / 高澋 [종교·철학/유학]

    1862(철종 13)∼1947. 고조는 고보, 증조는 고몽기, 조는 고도겸이다. 아버지는 고언걸, 어머니는 조기태의 딸이다. 7세 때 중부 석애공의 엄정한 가르침을 받아 16세에는 사서삼경을 비롯한 당송의 제가의 시집들도 두루 섭렵하였다. 함께 교유한 인물로는 청초

  • 고훈사 / 考勳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관원의 공훈에 따른 봉군·봉작 등을 관장한 이조 소속의 관서. 설립시에는 종친·관리의 훈봉과 내명부·외명부의 고신 및 봉증 등에 관한 일을 맡도록 규정하였다. 그 뒤 종재·공신의 봉증·시호와 향관·명부·노직의 작첩 및 향리의 급첩 등에 관한 일을 맡도록

  • 고휴규 / 高烋圭 [역사/근대사]

    1884-1954.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며 제주도 성산읍(城山邑) 수산리에서 출생하였다. 제주의 민족주의 계열의 성산청년회가 주최한 성산면 체육대회에서 한국인 선원과 일본인 선원 등 2백여 명과 벌어진 싸움으로 체포되었다. 이 사건으로 고휴규는

  •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 高興 金塔寺─ [과학/식물]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에 있는 비자나무숲. 천연기념물 제239호. 면적 97,181㎡. 이곳 비자나무숲은 천등산 중턱에 자리잡은 금탑사(金塔寺) 주변에 있는 인공림(人工林)으로서 심겨진 연도는 확실하지 않으나 금탑사에 딸린 암자 주변에까지 심겨진 것으로 보아 금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