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이세구 / 李世龜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24)∼1700(숙종26). 조선 후기의 문신. 항복 증손, 아버지는 시현이다. 박장원의 문인이다. 1685년(숙종 11)에 음보로 경양도찰방을 시작으로, 예산현감, 상의원첨점, 홍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박세채·윤증·남구만·최석정 등 소론에 속하였던 학자
이세덕 / 李世德 [종교·철학/유학]
1662년(현종 3)∼1724년(경종 4).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후산, 조부는 이사경이다. 부친 이두악과 모친 이상진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05년(숙종 31) 증광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관직에 나아가 문학·정언·지평·직장·수찬·검상·사간·집의
이세백 / 李世白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사경 증손, 할아버지는 후천, 아버지는 정악, 어머니는 김광린의 딸이다. 1657년(효종 8) 진사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그 곳에서 송준길의 가르침을 받았다. 1666년(현종 7) 의금부도사를 거
이세보 / 李世輔 [문학/고전시가]
개항기 공조판서,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시조작가. 아버지는 군수 이단화(李端和), 어머니는 해평 윤씨(海平尹氏)로 윤응선(尹應善)의 딸이다. 1851년(철종 2) 풍계군(豊溪君) 이당(李塘)의 양자가 되어 이름을 이호(李晧)로 개명하고 소의대부(昭義大
이세영 / 李世永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의병장·독립운동가(1869∼1938). 을사늑약 후 의병참모장으로 활약하다 패하여 유배되었다 풀려났다. 만주 망명 후 임시정부 참모부차장과 신흥무관학교교장 등을 지냈다. 한교공회 등을 조직하고 항일투쟁에 힘썼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이세정 / 李世楨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진명여자중고등학교 교장, 일성고등공민학교 교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체육인. 1895(고종 32)∼1972. 서울 출신. 1911년에 매동(梅洞)고등보통학교, 1914년에 경성고등보통학교 부설 교원양성소를 졸업하였다.1917년에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이세춘 / 李世春 [예술·체육/국악]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가객. 《해동가요》고금창가제씨조에 허정·장현·탁주한·박대길·김유기·박후웅·김수장·김천택 등 56명의 명창과 함께 나오는 인물이다. 1774년(영조 50) 신광수의《석북집》관서악부에 전하는 시에 의하면 “시조에 장단을 배열한 것은 장안에서 온
이세태 / 李世泰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60). 황 후손, 아버지는 수경, 어머니는 안노석의 딸이다. 1744년(영조 20) 식년 문과에 급제하고, 주서·지평·정언·장령·판결사 등을 거쳤다. 남포현감으로 있을 때의 치적이 채제공을 통해 왕에게 보고되었으나, 그가 세상을 떠난
이세필 / 李世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항복의 증손, 이시술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뛰어났다. 형조좌랑, 삭녕군수, 김제군수, 사복시정, 장악원정을 역임하였다.영광의 백산서원과 김제의 용암서원에 제향되었다.
이세화 / 李世華 [종교·철학/유학]
1630(인조 8)∼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계록 증손, 아버지는 이재. 큰아버지 희재의 양자로 들어갔다. 165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장령, 황해도·평안도·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형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이조판서, 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