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김심 / 金諶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내자시유 해, 아버지는 참의 우신, 어머니는 지청풍군사 이계충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에는 좌랑으로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여
김씨괴정본중금보급방향보 / 金氏槐庭本中芩譜及方響譜 [예술·체육/국악]
조선후기 궁중 악사들이 「여민락」·「취타가악」·「방향령보」 등을 수록한 악보. 1책. 사본. 송석하(宋錫夏)의 『현존조선악보(現存朝鮮樂譜)』(1943)에 소개된 내용은 「여민락(與民樂)」·「미후입리(尾後入里)」·「관악보허자(管樂步虛子)」·「미후리(尾後里)」·「취타가악
김씨세효도 / 金氏世孝圖 [교육/교육]
1865년 김석봉이 김윤광 일가의 효행을 기록한 언행록. 교훈서. 1책. 목판본. 구성 체재는 『삼강행실도』의 체재를 따르고 있으며, 각 항목마다 도판과 언해가 함께 실려 있다. 조성하(趙成夏)·김병국(金炳國)·홍재철(洪在喆)·김병기(金炳冀) 등의 서문과 조영하(趙寧
김안국 / 金安國 [종교·철학/유학]
1478(성종 9)∼1543(중종 38). 조선시대 문신·학자. 참봉 연의 아들, 정국의 형이다. 1507년(중종 2)에는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지평·장령·예조참의·대사간·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모재집≫·≪모재가훈≫·≪동몽선습≫ 이 있고, 편서로는
김안로 / 金安老 [종교·철학/유학]
1481(성종 12)∼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수 우신, 아버지는 참의 흔, 어머니는 윤지의 딸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었고, 1506년(중종 1)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전적에 처음 임명된 뒤 수찬·정언·부교리
김약로 / 金若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53). 할아버지는 김징, 아버지는 대제학 김유, 어머니는 송박의 딸이다.《숙종실록》 보충의 잘못을 논하다가 유배당하였으나 이듬해에 석방되었다. 1744년 공조·호조·병조의 판서가 되었고, 1746년 우참찬, 이듬해 판의금부사를 거쳐 1
김양보호성공신록 / 金良輔扈聖功臣錄 [언론·출판/출판]
1604년 무신 김양보를 호성공신 3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7호. 1604년(선조 37) 가의대부(嘉義大夫, 종2품) 내시부상호(內侍府尙弧)인 김양보를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 자헌대부(資憲大夫, 정2품)인 삼등공신으로 한 계
김양정 / 金養禎 [종교·철학/유학]
1785년(정조 9)∼1847년(헌종 1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김해진의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동생 지암 김양식이 있다.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금시술·이원조·이휘녕·정상진·황반노 등과 도의로 교유하였다. 1834년(순조 34) 식년시 생원
김양행 / 金亮行 [종교·철학/유학]
1715(숙종 41)∼1779(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아버지는 참판에 추증된 김신겸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좌의정 이이명의 딸이다. 민우수의 문인, 이간의 인물동성론에 동조한 김창흡의 영향을 받아 낙론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했다. 오직 학문연구에 전념하
김언건 / 金彦健 [종교·철학/유학]
1511(중종 6)∼1571(선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공저, 아버지는 장사랑 자, 어머니는 흥양이씨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어 어려운 과정에서 학문을 닦았고, 장년이 되자 노수신·임훈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는『운정유집』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