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영흥광산 / 永興鑛山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영흥군 덕흥면 농암리와 금파원리에 걸쳐 있는 사금광산. 영흥군과 정평군과의 사이에 있는 정암산(靜菴山)은, 반심성암에 속하는 화강암 중에 배태된 금은광맥이 중생대 중엽 이후에 건조한 기후가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이 때문에 삭마작용(削磨作用)이 현저하게 진행되어
영흥군 / 永興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남부에 있는 군. 동쪽은 동해, 동북쪽은 정평군, 서쪽은 낭림산맥으로 평안남도 맹산군·양덕군, 북쪽은 영원군, 남쪽은 고원군·문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35′∼127°35′, 북위 39°15′∼39°52′에 위치하며, 면적 2,192.25㎢, 인구 1
예금 / 預金 [경제·산업/경제]
일정한 계약으로 금융기관에 금융자산을 맡기는 일 또는 그 자산. 우리 나라에서 예금업무를 보는 민족계 은행이 설립되기 시작한 것은 1894년(고종 31)의 갑오경장 이후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는 민족계 은행이 설립된 뒤에도 예금이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그
예배 / 禮拜 [종교·철학/개신교]
경외(敬畏)의 대상인 인격체 혹은 비인격체에 대하여 취하는 의식. 예배라는 말은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주로 개신교나 천주교의 종교행사를 할 때 쓰이고, 유교의 제사, 불교의 불공이나 선(禪)에 대해서는 넓게 쓰이지 않는다. 예배는 본래 ‘숭배하는 마음에서 우러나온 행위
예성강철교 / 禮成江鐵橋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개풍군 서면과 황해도 연백군 운산면 사이를 연결하는 철교. 해주와 토성을 연결하는 토해선(土海線, 일명 黃海線)의 예성강역과 성호역 사이에 위치한다. 길이 623.4m, 너비 11.6m로, 그 중 철도가 5.2m, 우마차 및 인도가 각각 3.2m로 되어 있다.
예수 [언론·출판/언론·방송]
평양 예수교회 중앙선도원이 1934년 1월 13일에 국한문을 섞어 2-3단으로 내리 편집하여 매월 발행한 조선예수교회의 기관지. 내용으로는 무제, 명상록, 참회록, 성경연구, 기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수셩교젼셔 / 耶蘇聖敎全書 [종교·철학/개신교]
1887년 발행된 최초의 한글판 신약전서. 1878년 스코틀랜드 연합교회의 목사이자 중국선교사이던 로스는 이응찬, 김진기, 백홍준과 함께 성서번역을 완료하였다. 로스가 참고한 성서는 <한문성서> <헬라어성성>
예식원 / 禮式院 [역사/근대사]
1900년에 설치된 외교문서, 궁 내의 대외교섭, 예식친서, 국서 및 외국문서 등을 번역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1900년 12월 궁내부에 예식원을 신설하여 궁내의 외교사절과의 교섭과 예식 및 친서, 국서와 외교문서의 번역을 담당하였다. 관원은 칙임관인 장 1인, 부
예원좌 / 藝苑座 [예술·체육/연극]
1935년 2월 창단된 극단. 이 극단의 특색은 막간에 여흥을 넣는 것이었는데, 공연은 부민관과 우미관을 주로 이용했으며 각 지방 순회공연도 가졌다. 이들은 촌극, 넌센스, 노래, 만담, 조선영화, 해설극 등을 전문으로 공연했으며, 194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다.
예의문답 / 禮疑問答 [종교·철학/유학]
예류(禮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3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30.0×20.2cm, 반곽은 21.0×15.2cm이다. 표제는 예의문답류편(禮疑問答類編), 판심제는 예의문답(禮疑問答)이다. 곽종석(郭鍾錫)이 저술하였고, 서문(序文)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