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학생 / 苦學生 [교육/교육]

    학비를 스스로 벌어서 고생스럽게 배우는 학생이다.

  • 고한선 / 古汗線 [경제·산업/교통]

    강원도 정선군 남면의 증산역과 고한읍 사이에 부설된 철도. 고한선의 시작인 증산∼고한 구간의 10.7km는 1966년 1월에 개통되었고 1973년 2월에 함백산을 관통하는 정암터널이 완공됨으로써 황지까지의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1972년 6월고한∼증산간 10.7km

  • 고한승 / 高漢承 [예술·체육/연극]

    1902-1950. 신극운동가·아동문학가. 개성 출신. 일본 동경유학중 신극연구단체 극예술협회(劇藝術協會)창립회원으로서 활약하였다. 1921년 여름 개성 출신 동경유학생단체 송경학우회(松京學友會)를 이끌고 귀국, 개성좌(開城座)에서 임영빈(任英彬)이 쓴 〈백파(白波)의

  • 고향 / 故鄕 [문학/현대문학]

    현진건(玄鎭健)이 지은 단편소설. 1926년 글벗집에서 발행한 단편집 『조선의 얼굴』에 수록되었다. 이 작품은 30, 40매 정도의 소품으로서 액자소설(額字小說)의 형태를 보여준다. 비록 소품이지만 1920년대 민족항일기의 시대상을 집약적으로 조명하고, 일제의 식민지

  • 고향 / 故鄕 [문학/현대문학]

    태어나서 자라고 살아온 곳 혹은 마음속 깊이 간직한 그립고 정든 곳. ‘고향’이라는 말은 누구에게나 다정함과 그리움과 안타까움이라는 정감을 강하게 주는 말이면서도, 정작 ‘이것이 고향이다’라고 정의를 내리기는 어려운 단어이다. 고향은 나의 과거가 있는 곳이며, 정이 든

  • 고향산천 / 故鄕山川 [문학/현대문학]

    방인근(方仁根)이 지은 장편소설. 1953년 삼중당에서 간행하였다. 이 작품은 작가가 지향하는 세계관과 일치하는 작품세계를 보이고 있다. 지식인 주인공의 귀농 모티프(motif)를 수용한 작품으로서 농촌 청소년층의 계몽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작품의 서두는 ‘이야기는

  • 고헌산 / 高獻山 [지리/자연지리]

    울산광역시 울산구 상북면과 두서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33m. 양산구조선(梁山構造線) 서북쪽에 있으며, 태백산맥의 여맥이 달리는 경상남도 동북부 산악지대를 이루는 가지산(加智山, 1,240m)·운문산(雲門山, 1,107m)·천황산(天皇山, 1,189m)·능동산

  • 고헌유고 / 固軒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영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7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57년 그의 손자 용호(容鎬)와 증손 석중(錫中)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재성(宋在晟)의 서문과 권말에 유상철(柳相喆)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

  • 고헌유고 / 顧軒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선익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5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손자 창래(敞來)가 편집하고 백일인(白鎰寅)이 교정하여, 1975년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백순(李柏淳)의 서문과 권말에 백일인의 발문이 있다. 단국대학교

  • 고헌집 / 顧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내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목활자본. 1898년(고종 25) 이종기(李鍾杞)·장승택(張升澤)이 교본하고, 손자 윤화(允和)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기·장승택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