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동몽수지 / 童蒙須知 [종교·철학/유학]

    중국 송나라 때 주자가 지은 아동교육 교재. 1책. 어린이가 지켜야 할 기본적인 도리와 예절을 적은 수신서이다. 고려 말에 들어와서 조선시대에는 아동교육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내용은 의복·갓·신을 갖추는 일, 올바른 언어와 걸음걸이를 익히는 일, 주변을 정리하고 청소

  • 동문선 / 東文選 [종교·철학/유학]

    1478년(성종 9) 성종의 명으로 서거정 등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우리 나라 역대 시문선집. 본문 130권, 목록 3권, 합 133권 45책. 활자본·목판본. 당시 대제학이던 서거정이 중심이 되어 노사신·강희맹·양성지 등을 포함한 찬집관 23인이 작업에 참여하였다.

  • 동문수 / 東文粹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종직(金宗直)이 편찬한 문장선집. 10권 3책. 목판본. 『동문수』는 성삼문(成三問) 등 집현전 학자들이 우리 나라 역대의 문장을 뽑아서 편집하여 『동인문보(東人文寶)』라는 책자를 편찬하다가 완성하지 못하였다. 오랫동안 구(舊) 규장각에 비장되었던 것을

  • 동문유해 / 同文類解 [언론·출판/출판]

    1748년(영조 24) 현문항(玄文恒)이 편찬한 만주어 어휘집. 청어역관들의 학습용으로 사역원에서 간행되었다. 사역원 훈장인 현문항이 당시 중국에서 간행된 만주어 사전과 어휘집 『청문감』·『대청전서』·『동문광휘』 등을 참고하여 6년여에 걸쳐 수정, 편찬하였다고 한다.

  • 동문자모분해 / 東文字母分解 [언어/언어/문자]

    1860년대에 강위(姜瑋)가 지은 정음(正音) 연구서. 널리 알려진 것은 김윤경(金允經)의 ≪조선문자급어학사 朝鮮文字及語學史≫(1938)에 수록된 ≪동문자모분해≫(1869)이며, 근래에 알려진 것은 이능화(李能和)의 ≪국문연구안 國文硏究案≫(1907)에 등사된 ≪의정국

  • 동문집성 / 東文集成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송백옥(宋伯玉, 생몰년 미상)이 엮은 고문(古文) 선집. 36권 18책(본집 24권 12책, 속집 12권 6책). 필사본. 『동문집성』의 편집체재는 각 작가에 대하여 상·하 2권 1책으로 하여, 권두에는 서문에 해당하는 인(引)을 붙였다. 이어서 수록작품

  • 동번집 / 東樊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이만용(李晩用)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권말에 원승의 지(識)가 있다. 권1∼3에 시 530수, 권4에 문(文) 10편이 실려 있다. 권말에 부록으로 실려 있는 「계당집초 溪堂集抄」는 저자의 아들인 지형(之衡)의 작품으로 부(賦) 1편과

  • 동복지 / 同福誌 [지리/인문지리]

    1855년 송긍면 등이 전라도 동복(현 화순군 동복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권 1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필사본 『동복군읍지』 1책과 편찬연대 미상의 『동복현지』 1책 등이 규장각 도서에

  • 동사 / 東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 이종휘가 지은 역사책. 그의 문집인『수산집』안에 수록되어 있다. 지은이의 당색은 소론파에 속하며, 백부 정걸이 윤증의 문하인 관계로 그의 학통을 계승하고 있다. 소론파 중에서도 양명학자 정제두의 손서 신대우와 가까웠고, 홍양호·조중진 등과도 교유가 있어 이들

  • 동사열전 / 東師列傳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구계(九階) 선편, 등사본, 1941, 6권 1책. 1941년(소화 16) 등사, 역대 승려들의 기록을 모아 편집한 고승(高僧)들의 전기이다.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