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김시연 / 金始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0∼?). 대사헌 김노의 아들, 궁내부특진관 김완수의 아버지이다. 전라도관찰사 때 국고 탐장의 죄로 탄핵 받아 자자형을 받고 제주도에 위리안치되었다. 고종의 특지로 풀려나 1875년 형조판서에 올랐으나 강화도조약으로 혼란스런 틈을 타 조정 비방
김시온 / 金是榲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9(현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찰방 김수일, 아버지는 진사 김철, 어머니는 찰방 김종무의 딸이다. 큰아버지인 사성 김극일에게 입양되었다.어려서부터 재행이 경상좌도에 이름났으나, 일찍부터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고 병자호란 이후
김시진 / 金始振 [종교·철학/유학]
1618(광해군 10)∼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좌의정 명원 증손, 할아버지는 수인, 아버지는 남헌, 어머니는 사인 권흔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검열이 되었다. 문학, 수찬, 부교리, 전라도관찰사, 호조참판
김시창 / 金始昌 [종교·철학/유학]
1472(성종 3)∼1558(명종 13). 조선 중기의 효자. 할아버지는 사직 효신, 아버지는 의, 어머니는 조승중의 딸이다. 일찍이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금산에 거주하면서『가례』에 의한 상례를 철저히 준행하는 한편, 효행이 뛰어나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
김시태 / 金時泰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22년(경종 2). 조선 후기 무신. 김상준 후손, 부친 김성구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김시정‧김시승이다. 1714년(숙종 40) 증광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1721년(경종 1) 당시 황해병사로 재직 중, 사헌부에서는 김시태가 권
김시혁 / 金始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6∼1750). 김선여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득원, 아버지는 제용감봉사 김홍주, 어머니는 주서 남궁배의 딸이다. 1708년(숙종 34) 식년 병과 급제 후, 경종 대에 수원부사로 물러났다가 영조 때 정미환국 후 복직되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김시화 / 金始鏵 [종교·철학/유학]
1662년(현종 3)∼1732년(영조 8). 조선 후기의 유생.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통훈대부 이상언의 딸이다. 종조 이요석에게서 수업하였으며, 우헌 유세명이 그를 보고 재능이 뛰어나니 상경하여 면학하도록 격려하였다. 부친의 명으로 과거에 나가 1702년
김신겸 / 金信謙 [종교·철학/유학]
1693(숙종 19)∼1738(영조 1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진사 창업, 어머니는 이속의 딸이다. 숙부인 김창흡을 사사하였다.큰아버지인 영의정 김창집이 노론 4대신의 한 사람으로 신임사화에 거제도로 유배될 때 연루되어 함께 유배되었다. 1725년(영조 1)
김신부부사혼기 / 金申夫婦賜婚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전(傳). 『아정유고(雅亭遺稿)』 권12에 실려 있다. 이 글은 신해년에 혼기를 놓친 백성에 대한 칙명으로 김씨와 신씨의 혼사를 기록한 것이다. 끝에는 이덕무의 찬사가 첨가되어 있다. 한편 이것을 희곡으로 꾸며 「동상기(東廂記)」라고
김신선전 / 金神仙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가 28세 때인 1764년(영조 40) 이후에 쓴 작품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 권8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김신선전」은 박지원의 끈질긴 추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