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추장 / ─醬 [생활/식생활]

    메줏가루에 질게 지은 밥이나 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서 만든 장.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에는 고추가 일본에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 말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된 최초의

  • 고추장찌개 / ─醬─ [생활/식생활]

    고추장에 물을 조금 붓고 고기·파·두부 등을 썰어 넣고 끓인 찌개. 반상차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보편적인 찌개로 두부고추장찌개·생선고추장찌개 등이 있다. 고추장찌개는 조선 중기 이후에 고추가 재배되고 고추장이 개발된 뒤에 만들어진 음식이다. ≪조선요리제법≫·≪간편조

  • 고태영 / 高泰英 [역사/근대사]

    1891-1941년.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제주도 성산읍(城山邑) 오조리(吾照里)에서 출생하였다. 1927년 5월 성산포에서 면민씨름 대회를 개최하였을 때, 씨름구경을 하던 일본어선단 선원 2백여 명과 지방민과 격투가 벌어져, 김명선(金明善

  • 고태익 / 高台翼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전기 문신. 증조부는 고신걸, 조부는 고봉지이다. 직제학을 지낸 영곡 고득종의 4남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은 고태필‧고태정‧고태보이다. 장인은 사직인 송소이다. 1454년(단종 2) 갑술 식년시 정과 21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에 이르

  • 고파도 / 古波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고파도리에 있는 섬. 섬의 남쪽은 대부분 산지인데, 가장 높은 곳이 해발 69.1m 정도이다. 북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져 섬의 북쪽에는 구릉지가 분포한다. 동쪽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해안은 모래가 많이 쌓인 사빈해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 고평 / 高平 [역사/근대사]

    1886-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본적은 전라북도 정읍(井邑)이다. 1918년 2월 중국 국자가(局子街) 하장리(下場里) 연길(延吉) 도윤공서(道尹公署) 외교과원 박동원(朴東轅)의 집에서 이홍준(李弘俊)·이성근(李聖根)·김영학(金永學)

  • 고풍분지 / 古豊盆地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초산군 강면·풍면·고면(지금의 자강도 고풍군)에 걸쳐 있는 분지. 경지는 18% 가량인데 이 중 논이 5.8%, 과일 밭이 4.9%, 뽕밭이 5.8%로 밭은 82%나 된다. 농산물 중에서는 옥수수·수수·조·콩·감자 등이 주요 농산물이며 벼의 생산량은 적다. 가

  • 고풍의상 / 古風衣裳 [문학/현대문학]

    조지훈(趙芝薰)이 지은 시. 1939년 4월호 『문장(文章)』(통권 3호)에 정지용(鄭芝溶)의 추천을 받아 발표된 첫 번째 작품이다. 1946년 6월을유문화사(乙酉文化社)에서 같은 청록파 동인 박두진(朴斗鎭)·박목월(朴木月)과 함께 펴낸 『청록집(靑鹿集)』에도 수록되어

  • 고하도 / 高下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에 있는 섬. 2011년 기준으로 인구는 337명(남 181명, 여 156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99세대이다. 취락은 섬 남부의 농경지 부근에 집중하여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29㎢, 밭 0.57㎢, 임야 0.73㎢이다. 주요

  • 고학 / 苦學 [교육/교육]

    학비를 스스로 벌어서 고생스럽게 배우는 것이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