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영선사 / 領選使 [역사/근대사]

    개항기에 최초로 청나라에 파견한 유학생 인솔 사행. 김윤식이 담당한 영선사에게는 신무기에 관한 학습과 연미사(聯美事)에 관한 사전 교섭의 사명이 있었다. 신무기를 비롯한 서구 문물은 개항 직후부터 고종과 초기 온건개화파의 관심 대상이었다. 그 결과 두 차례에 걸친 수신

  • 영성체 / 領聖體 [종교·철학/천주교]

    천주교에서 미사 때 축성된 빵과 포도주를 받아 먹는 것. 빵과 포도주는 미사중 성찬의 전례 부분에서 사제가 축성함으로써 살아 있는 예수의 몸과 피로 변하며 이때의 빵과 포도주를 성체와 성혈이라고 한다. 신자들은 이 성체를 받아 먹음으로써 예수를 몸안에 모시게 되는데 이

  • 영아소동 / 嬰兒騷動 [종교·철학/개신교]

    1888년 여름에 일어난 서양인과 기독교에 대한 배척소동. 1885년 시작된 선교사업은 의료와 교육분야에서 급속히 발전하였다. 이를 시기한 일부 인사들이 서양인들이 한국의 어린이들을 유괴하여 상해한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이 소문은 삽시간에 퍼져서 서양인에 대한 적개심과

  • 영암최성호가옥 / 靈巖崔成鎬家屋 [생활/주생활]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중요민속자료 제164호. 안채와 사랑채, 그리고 문간채와 헛간채가 사방에 배치되어 작은 규모이지만 제법 넓은 안마당을 만들고 있으며 초가집으로서 제대로 구색을 갖추고 있다. 안동지방의 ㅁ자 형식과는 다른 각각의

  • 영언 / 永言 [문학/고전시가]

    19세기 초·중반 필사지(筆寫地)와 필사자 미상의 가곡집. 초중화엽(初中和葉)이라는 악곡의 이름을 시작으로 가곡 516수를 수록하고 있으며, 국한문을 혼용하여 정연하게 필사한 가곡집이다. 서문이나 발문이 붙어 있지 않고 편찬자나 필사자도 표기되어 있지 않아편찬이나 발간

  • 영일동맹 / 英日同盟 [정치·법제/외교]

    영국과 일본이 1902년 1월, 1905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공동의 이해관계를 두고 체결한 동맹. 1902년 1월 30일 영국 외무대신 랜스다운과 주영 일본공사 하야시는 양국의 이익을 위해 1차 영일동맹을 체결하였다. 이후 양국은 1905년 8월 2차 영일동맹을 체

  • 영정신연도남산연유치주문 / 影幀神輦到南山緣由馳奏文 [정치·법제]

    1900년(광무 4) 3월 13일에 안변에서 남산의 숙소에까지 영정을 무사히 모셔왔음을 의정부 의정과 장례원 경이 고종에게 아뢴 주문. 영정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는 미상, 옮긴 목적은 그것을 모사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의정부 의정이 영정모사도감 도제조의 직무를

  • 영정신연도회양군연유치주문 / 影幀神輦到淮陽郡緣由馳奏文 [정치·법제]

    1900년(광무 4) 3월 15일 고산참에서 진발한 영정이 회양군의 숙소에 도착하였음을 의정부의정과 장례원경이 고종에게 아뢴 주문. 영정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는 미상이며, 옮긴 목적은 그것을 모사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의정부 의정이 영정모사도감도제조의 직무를

  • 영정신연자덕원부전진연유치주문 / 影幀神輦自德源府前進緣由馳奏文 [정치·법제]

    1900년(광무 4) 3월 13일 덕원부의 숙소에서 영정을 받을어 모시고 전진하였음을 의정부 의정과 장례원경이 고종에게 아뢴 주문. 영정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는 미상, 옮긴 목적은 그것을 모사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의정부의정이 영정모사도감도제조의 직무를 맡고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