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창지석묘군 / 高敞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도산리, 아산면 상갑리·봉덕리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죽림리지석묘는 해발 15∼65m의 등고선을 따라 일정한 높이에 열 지어 놓여 있다. 지석묘 앞에 고창천을 끼고 펼쳐져 있는 넓은 들판은 농사를 짓기에 알맞은 조건을 갖추고

  • 고창향교 / 高敞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에 있는 향교. 고려 공민왕 때 학당사(學堂祠)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지방민의 교육을 담당하다가, 1512년고창향교로 명칭을 변경한 뒤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을 실시하였다. 1589년 지금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 고창희 / 高昌熙 [역사/근대사]

    1887-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남도 평양시(平壤市)이다.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독립운동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하였다. 1919년 백기환(白基煥)·정찬도(鄭燦道) 등과 결의를 하고 만주(滿洲) 서간도(西間島)로 건너갔다. 이곳에서 대한독립

  • 고채주 / 高采柱 [역사/근대사]

    1861-1920년. 독립운동가. 경상남도 통영 출신. 일명 석주(錫柱). 1901년부터 1909년까지 미주(美洲)에서 동포의 단결을 위하여 노력하다가 귀국하였으며 통영 지방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1901년 서양의 문물을 배우고 익혀서 우리민족을 깨우치기로 결심

  • 고천서원 / 古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고천리에 있는 서원. 1705년(숙종 31) 영천군 유림의 공의로, 임진왜란 당시 경주 선천진(宣川陣)에서 순절한 10의사 김대해(金大海)·김연(金演)·최인제(崔仁濟)·정석남(鄭碩男)·이영근(李榮根)·이지함(李之菡)·이일장(李日將)·이득룡(李得龍

  • 고천서원 / 高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고천리에 있었던 서원. 1850년(철종 1)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지(柳榰)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

  • 고청유고 / 孤靑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학자 서기(徐起)의 시문집. 2권 1책. 고활자본. 원래 서기의 저술이 별로 없는데다 임진왜란 이후로 대부분이 유실되었는데, 충청도관찰사 홍계희가 제가의 문집 속에서 서기의 글을 발췌하여 편찬, 간행한 것이다. 송병준(宋炳俊)의 서문이 있고, 권 상에는

  • 고촌집 / 孤村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배정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0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석판본. 1940년 그의 8세손 정환(貞煥)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허전(許傳)의 서문과 권말에 이의국(李義國)과 정환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2에

  • 고추 / 苦草 [과학/식물]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고추는 고온성 채소로 싹을 틔우는 온도는 25℃ 내외가 적당하다. 토양은 보수력이 있는 양토가 가장 좋다. 채소용 고추는 1월 하순에 씨를 뿌려 2∼3회 옮겨심고, 4월 하순에 아주심기를 한다. 아주심기를 한 다음 30∼40일이 지나

  • 고추나무 / Staphylea bumalda DC. [과학/식물]

    고추나무과 고추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고추나무는 고추나무과의 작은키나무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에 자생한다.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분포하며, 높지 않은 산지의 숲 가장자리, 경사지 및 골짜기에서 잘 자란다. 학명은 Staphylea bumalda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