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우찬성 / 右贊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종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 1401년(태종 1) 의정부에 흡수하면서 의정부찬성사로 되었다. 1414년 4월 육조직계제 실시로 의정부 기능이 축소되어 동판부사가 되었다. 같은 해 6월 동판부

  • 우참찬 / 右參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 1401년(태종 1) 의정부에 흡수하면서 의정부찬성사로 되었다. 1414년 4월 육조직계제 실시로 의정부 기능이 축소되어 동판부사가 되었다. 같은 해 6월 동판부

  • 우탁 / 禹倬 [종교·철학/유학]

    1262(원종 3)∼1342(충혜왕 복위 3). 고려 말기의 문신·학자. 우현의 7대손, 우천규의 아들이다. 향공진사, 영해사록, 감찰규정, 성균좨주 등을 역임하였다.경사에 통달했고,『고려사』열전에 ‘역학에 더욱 조예가 깊어 복서가 맞지 않음이 없다.’고 기록될 만큼

  • 우통례 / 右通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정3품 당하관직. 통례원의 차관으로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된 관제의 전반적인 보완·개정과 함께 고려시대부터 조선이 개국된 이래로 운영된 통례문을 통례원으로 개칭하고, 통례문 때의 겸판통례문사를 녹관의 우통

  • 우향계안 / 友鄕契案 [사회/촌락]

    경상북도 안동에서 조직된 우향계의 변천과정을 기록한 책자. 우향계는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으로 태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李原, 1368~1430)의 아들 이증(李增)이 안동에 낙향하여 당시 안동의 나이 많고 덕이 높은 인물 12명(안동권씨 3명, 흥해배씨 4명, 영

  • 우활가 / 迂濶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지은이가 자신의 초탈한 생활상을 소재로 자연을 벗삼아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작품구성은 전 92구에 7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의 구성내용을 순서에 따라 살펴보면

  • 우후 / 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 절도사에 소속된 관직. 남병사를 제외한 전임절도사 밑에 두었으며, 병마절도사에 소속된 종3품의 병마우후와 수군절도사에 소속된 정4품의 수군우후로 구분되고, 임기는 720일(2년)이다. 우후는 절도사를 도와 군기에 참여하고 군령을 전달하며 군사를 지휘하

  • 운검 / 雲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반 두 사람이 큰칼을 차고 임금의 좌우에 서서 호위하는 2품 이상의 임시 관직. 나라에 큰 잔치나 회합이 있어 임금이 임어할 때 유능한 무장 중에서 믿는 사람을 골라서 임명하였다. 이들이 사용하는 칼은 칼집을 어피로 싸고 주홍색으로 칠하였으며, 장식은 백은

  • 운봉향교 / 雲峰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산덕리에 있는 향교. 1410년(태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75년(선조 8)에 현의 북쪽에서 가산리로 이전하였고, 1640년(인조 18)에 현재의 위치로 다시 이전하였다. 1

  • 운부군옥 / 韻府羣玉 [언론·출판]

    음시부 편집. 목판본. 15권 8책. <운부군옥>은 1437년(세종 17) 원나라의 음시부가 찬하고 그의 형인 음중부가 주를 단 책을 세종의 명에 따라 복각한 판본이다. 원 간본과 같이 매 글자마다 반절음으로 표기했고, 글자의 이동과 변천을 밝혔다. 오늘날 통용되는 운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