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 / 高敞 禪雲寺 兜率庵 長沙松 [과학/식물]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354호. 높이 23m이며, 가슴높이둘레가 2.95m로, 지상 2.2m 높이에서 2개로 갈라져서 자란다. 수관폭은 동서가 16.8m이고 남북이 16.7m이며 수령은 600년이라고 보고 있으나 단순한 추정에 지나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 高敞禪雲寺懺堂庵大雄殿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803호.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3칸이고 다포계(多包系) 양식을 한 맞배지붕 형식의 건물이다. 전각 내에는 석가여래를 본존으로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이 협시한 삼존불을 봉안하고 있으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 高敞禪雲山兜率溪谷一圓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명승. 선운산(禪雲山)은 호남의 내금강이라 불리는 명산이다.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은 마애불이 위치하고 있는 계곡 지역을 대상으로 2009년에 명승 제54호로 지정되었다. 지역 내에는 도솔암 내원궁, 마애불, 진흥굴, 낙조대, 천마봉
고창 수동리 팽나무 / 高敞水東里─ [과학/식물]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에 소재한 팽나무. 2008년 5월 1일에 천연기념물 제494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높이는 12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6.56m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22.7m, 남북 방향이 26m이다. 줄기에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 高敞 中山里─ [과학/식물]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중산리에 있는 이팝나무. 천연기념물 제183호. 높이 12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1.16m인 노거수로서 수령은 미상이다. 줄기는 땅에서 1.4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네개로 갈라져 사방으로 퍼져 있다. 중산리 마을 앞의 낮은 지대에 홀로 서 있다
고창군 / 高敞郡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서남단에 위치한 군. 동북쪽은 정읍시, 동남쪽은 노령산맥을 경계로 전라남도 장성군, 남쪽은 전라남도 영광군, 서쪽은 황해, 북쪽은 줄포만을 사이에 두고 부안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26′∼126°46′, 북위 35°17′∼35°34′에 위치한다. 면적은
고창군읍지 / 高敞郡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전라북도 고창군 읍지. 1책. 채색지도가 있는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과 정조 때 편찬된 필사본인 『고창현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성지(城池)·도리(道里)·관직
고창녕설화 / 高昌寧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명관 고유(高裕)에 관한 설화. 주로 명판결에 대한 일화들로서, 그가 부임하였던 창녕을 중심으로 경상도 일대에 널리 구전되고 있다. 문헌설화는 『기문총화(記聞叢話)』·『동야휘집(東野彙輯)』에 전해지는데, 그 내용은 동일하다. 문헌설화도 그가 선정을 베풀고
고창매산리지석묘 / 高敞梅山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죽림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매산마을 동쪽 도로변에 있다. 이 곳에는 10여 기의 지석묘가 모여 있는데 북방식은 2기이고 나머지는 남방식이다. 북방식 중 1기는 바닥면이 편평한 타원형 덮개돌을 ㄷ자형으로 짠 받침돌 위에 얹혀 있다. 덮개돌
고창모양성제 / 高敞牟陽城祭 [생활/민속]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모양성 일대에서 열리는 지역문화축제. 모양성은 단종 원년인 1453년에 왜구를 막기 위해 축성한 성으로 지금까지도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모양성제는 이 곳에서 행해지는 지역문화축제로 전국 유일의 답성돌이와 전통혼례식, 수령부임행차 재현, 성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