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연원제 / 淵源制 [종교·철학/천도교]
동학과 천도교의 포교원리. 19세기 말 동학이 정부로부터 사학으로 몰려 탄압받던 시대에 비밀포교 방식으로 등장했다. 각 지역 포교담당자를 접주로 임명했다. 접주는 행정상 명칭이지만 도의 전수라는 측면에서 연원이라고 불렀다. 1894년 갑오동학혁명시 남북접 대립, 천도교
연추 / 煙秋 [사회/촌락]
러시아 연해주에 있었던 한인 마을. 러시아 연해주의 대표적인 한인 마을이다. 1868년에 형성되어 상·중·하 3개의 마을로 나뉠 정도로 큰 규모였다. 1923년과 1937년에 연이어 2개의 마을이 폐쇄되었고, 중심지였던 하연추는 추카노보(Цуканово, Tsukano
연통제 / 聯通制 [역사/근대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외 업무 연락을 위한 지하 비밀행정조직. 상해 임시정부가 국내외 국민간에 독립 의지를 상통하고 구국 사업의 완성을 기하며, 내외의 독립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상해 임시정부 초기 연통 각 기관의 업무는 법령 및 공문의 전포, 군인, 군속의 징
연필 / 鉛筆 [예술·체육/서예]
필기도구. 흑연과 점토의 혼합물을 구워서 가느다란 심을 속에 넣고 나무로 둘러싸서 만든 필기도구의 하나이다.
연해수리조합농민운동 / 延海水利組合農民運動 [역사/근대사]
1920년대에 황해도 연백, 해주의 중소지주들이 연해수리조합설치에 반대하고, 기존의 수리조합으로 인해 입은 피해보상을 요구하며 일으킨 운동. 수리조합비의 과다징수 등으로 인해 각처에서 수리조합 반대운동이 일어났으며, 연백과 해주도 그 중 하나이다. 발단은 1920년대
연행가 / 燕行歌 [문학/고전시가]
1866년(고종 3) 가례주청사(嘉禮奏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온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장편의 기행가사(紀行歌辭). 1866년 3월에 왕비 책봉을 청나라에 주청하기 위하여 우의정 유후조(柳厚祚)를 상사(上使), 서당보(徐堂輔)를 부사로 한 사행(使行)의
연화광산 / 蓮花鑛山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에 있었던 납·아연 광산. 영동선 동점역(銅店驛)에서 6㎞ 거리에 위치한다.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Precambria紀)의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과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 평안계 지층 등이며, 후기에 화강암과 석영반암(石英斑岩) 등이 관입
연회 / 年會 [종교·철학/개신교]
감리교 교회조직. 연회는 해마다 한 번씩 열리며, 보통 지리적인 경계를 중심으로 조직된다. 연회는 소속 연회의 구체적인 선교정책을 결정하고 목사 안수권을 감독에게 부여한다. 미국 감리회에서 연회는 1773년에 시작되었다. 한국은 1885년 미감리회가 선교활동을 시작하면
연흥사 / 演興社 [예술·체육/연극]
1907년 11월 송지만, 이준동, 이종진 등 세 사람이 절공 장윤식의 집을 개조하여 만든 극장. 당시의 다른 극장들처럼 자선공연을 많이 가졌는데, 레퍼터리는 무동, 예기창, 평양패, 춘향가, 각종 기예 등이었다. 특히 판소리 분창을 시도한 극장으로서 분창한 창극을 제
열녀춘향수절가 / 烈女春香守節歌 [문학/고전산문]
19세기 후반에 완판(完板)으로 출판된 「춘향전」의 이본. 고전 「춘향전」의 대표적 이본(異本)으로, 완판 30장본 「별춘향전(別春香傳)」이 33장본으로 확대되면서 「열녀춘향수절가」라는 새 표제가 붙게 되었다. 이 대본이 독자의 호응을 받게 되자, 다시 84장본으로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