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성현 / 成俔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504(연산군 10). 조선 초기의 학자. 아버지는 염조이다. 성현은 1462년(세조 8) 23세로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1466년 27세로 발영시에 각각 3등으로 급제하여 박사로 등용되었다. 1493년에 경상도 관찰사로 나갔다. 한성부판윤,
성호사설 / 星湖僿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익이 쓴 책. 조선시대에는 여러 필사본이 있었으나 인쇄되지 못하다가 1915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안정복의 정리본인 ≪성호사설유선≫을 상·하 2책으로 인쇄하였다(조선군서대계속 제19·20집). ≪성호사설≫은 천지문·만물문·인사문·경사문·시문문의 다섯
성호징 / 成虎徵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문신. 오 증손, 할아버지는 여용, 아버지는 운한이다. 어머니는 원진하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좌랑, 병조좌랑, 고산찰방 등을 역임하였다.
성혼 / 成渾 [종교·철학/유학]
1535(중종 30)∼1598(선조31).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충달 증손, 할아버지는 세순, 아버지는 수침이다. 어머니는 윤사원의 딸이다. 공조좌랑, 사헌부장령, 사헌부집의, 의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우계집≫ 6권 6책과 ≪주문지결≫ 1권 1책, ≪위학
성희안 / 成希顔 [종교·철학/유학]
1461(세조 7)∼1513(중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사달의 현손, 할아버지는 효연, 아버지는 찬이다. 어머니는 덕천군 생의 딸이다. 1485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홍문관정자가 되었다. 형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하였다.
세례 / 洗禮 [종교·철학/천주교]
죄를 용서받고 교회의 일원이 됨과 동시에 교회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교회의 입문예식(入門禮式). 세례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들어가는 문으로서, 교회의 다른 성사들을 받을 자격을 얻게 해 주며, 교회의 일원으로서의 의무를 부여하고, 하느님의 자녀로서
소고집 / 嘯皐集 [종교·철학/유학]
박승임의 문집. 목판본, 발: 김약련(속집, 1781), 10권 5책. 1600년에 문인 오운·안촌·배응 등이 유문을 수습하여 이산서원에서 4권 2책으로 간행, 속집은 박승임의 6대손 박희천이 원집에서 빠진 저술들을 모아 6권(부록 2권 포함)으로 편집하여 대산 이상정
소례참례 / 小禮懺禮 [종교·철학/불교]
불교 의례의 하나.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널리 행해지고 있는 의식이다. 이 의례는 예배의 대상이 특정한 신중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신봉되고 있는 여러 신앙대상들을 종합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의례수행 시 법신, 보신, 화신의 삼신불 뿐만 아니라 시방삼세의
소미통감 / 少微通鑑 [종교·철학/유학]
송의 강지가『자치통감』294권을 요약하여 50권으로 편찬한 책. 송 이종 원년(1237)에 강연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강연은 이 책에 많은 윤색을 가하고 음주를 달았으며 표·지·서·찬도 증입하였다. 본서는 정통과 비정통에 치중하는『자치통감강목』의 영향을 받아 ‘주난왕
소암실기 / 小巖實記 [종교·철학/유학]
김준용의 수적과 사적을 모아 엮은 책이다. 석인본. 2권 1책. 을사(1965)년 안룡호, 병오(1966)년 두 아들 김화락, 김봉락의 발문이 있다. 김응환의 서문이 있다. 연기는 ‘시세상원절’이라고만 했는데, ‘이 해’는 병오(1966)년이다. 권1에는 목록과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