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독거군도 / 獨巨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독거도리와 관매도리에 속하는 군도. 독거도와 관매도를 비롯한 섬들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고 있으며, 진도 남단 남서쪽 약 20㎞ 지점에 있다. 중심 도서인 독거도(獨巨島)를 비롯, 관매도(觀梅島)ㆍ신의도(新衣島)ㆍ개의도(開衣島)ㆍ슬도(瑟島)ㆍ
독거도 / 獨巨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독거도리에 있는 섬. 외로운 섬이라고 한자로 독고도(獨孤島)라고 쓰기도 했다. 한편 섬의 생김새가 독거시(도깨비의 사투리)처럼 생겼다 하여 독거섬·독거도·독거리라 하였다고 전해온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76명(남 39명, 여 37명)이 거
독로강 / 禿魯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동쪽 낭림산맥의 소백산 부근에서 발원하여 서북류하여 압록강에 합류하는 강. 압록강의 지류이다. 유로연장은 239㎞로서, 압록강 지류 중에서 세번째로 긴 강이다. 수원은 낭림산맥의 소백산(小白山, 2,184m)과 묘향산맥의 웅어독산(雄魚禿山, 2,019m
돌산도 / 突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에 속하는 연륙도. 여수반도의 동남쪽에 있고, 동경 127°16′, 북위 34°17′에 위치한다. 북쪽에 천마산(天馬山, 271m), 남쪽에 금오산, 서쪽에 천왕산(385m)을 비롯하여 중앙에 봉황산(441m) 등이 있으며, 동쪽에는 소규모의 들이
동강 / 東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의 남쪽 가수리에서 영월군에 이르는 강. 총 길이 약 65㎞이다. 영월읍 동쪽을 흐르는 남한강의 별명이다. 동강 유역에는 천연기념물 제206호인 백룡동굴을 비롯하여 많은 석회동굴과 기암절벽 등이 가을단풍과 어우러져 국내 최대의 비경을 이루고 있다.
동거차도 / 東巨次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67명(남 80명, 여 8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9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동쪽과 서쪽 해안에 형성된 만입부 주변에 집중해 있는데, 1700년경 진주강씨(晉州姜氏)가 처음으로 들어왔
동검도 / 東檢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동검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232명(남 112명, 여 12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20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서쪽과 동북쪽에 주로 분포하며 남쪽 해안에 일부가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09㎢, 밭 0.23㎢
동도 / 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86명(남 135명, 여 15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38세대이다. 취락은 360여 년 전 추씨(秋氏)가 들어와 살면서 형성되었다고 전해오는데, 서쪽 해안에 입지한 유촌마을과 죽촌마을에
동래강 / 東來江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선천군과 북부의 천마군 경계에 있는 가인봉(佳仁峯, 535m)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선천군과 곽산군 경계지역을 따라 서해로 흘러드는 강. 동래강의 길이는 45.5㎞이고, 유역면적은 303㎢, 유역평균너비는 6.6㎞, 하계망밀도는 0.51㎞/
동룡굴 / 蝀龍窟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영변군 용산면 용등동에 있는 석회동굴. 길이 4∼5㎞. 주동(主洞)의 길이는 1,463m, 평균 너비 40m, 평균 높이는 20m로, 대부분의 동굴 속에 종유석과 석순, 그리고 석주와 유석(流石)으로 불리는 종유폭포경관, 계단논 모양의 용식지형, 동굴호수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