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계사 / 計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호조의 종8품의 중인 관직. 산사(算士)와 함께 회계실무를 담당하였다. 초기의 ≪경국대전≫에는 정원이 2인, 후기의 ≪속대전≫에서는 1인으로 감하였다. 산사와 계사는 모두 중인 체아직으로서 1년에 두번씩 교대로 근무하게 되어 있었다.

  • 계자 / 繼子 [사회/가족]

    전처(前妻)가 후처(後妻) 소생의 자녀에 대하여, 또는 후처가 전처 소생의 자녀에 대하여 일컫는 친족 호칭. 의자녀(義子女)라고도 한다. 후처 소생의 자녀는 아버지의 전처를 전모(前母)라 하고 전처 소생의 자녀는 아버지의 후처를 계모(繼母)라고 하는데, 이들 모자관계는

  • 계초심학인문언해 / 誡初心學人文諺解 [언어/언어/문자]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을 언해하여 16세기말에 간행한 책. 역자는 미상이다. 원효(元曉)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과 각우(覺牛)의 『야운자경서(野雲自警序)』(또는 『야운자경문(野雲自警文)』·『야운자경(野雲自警)』)의 언해와 합본되어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 계축자 / 癸丑字 [역사/조선시대사]

    1493년(성종 24) 주자소(鑄字所)에서 만든 동활자. 중국 명조(明朝)의 신판(新板)인 《자치통감강목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하여 1493년 계축년에 주성하였다. 그러나 어느 책을 발간하기 위하여 계축자(癸丑字)를 주조하였는가에는 실록에 밝혀져 있지 않다. 성현(

  • 고경명 / 高敬命 [종교·철학/유학]

    1533(중종 28)∼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고자검의 증손, 할아버지는 형조좌랑 고운, 아버지는 대사간 고맹영, 어머니는 진사 서걸의 딸이다. 1552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전적, 공조좌랑, 형조좌랑,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 고금명유 / 古今名喩 [종교·철학/유학]

    명나라 학자 오사기가 역대 고금의 문헌에서 각종 명문들을 주제별로 발췌하여 1577년(추정)에 간행한 유학서. 『고금명유(古今名喩)』 초간본은 1573년 전후한 시기에 명나라 선성(宣城)에 있는 경야당(耕野堂)의 정관루(靜觀樓)에서 편찬되었고, 그 간행 시기는 1577

  • 고돌산진 / 古突山鎭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에 있는 조선전기 에 축성된 수군 관련 주둔지.수군주둔지. 이 진은 본영인 전라좌수영보다 9년이 늦은 1488년(성종 19)에 돌산포 만호(萬戶)로 설치될 때에 축성된 진(鎭)으로 주위 2,313척, 높이 13척의 석성이다. 1522년(중종 17)

  • 고등교육 / 高等敎育 [교육/교육]

    초등·중등 교육에 이어지는 가장 높은 단계의 교육. 제3단계 교육 또는 중등 후 교육(中等後敎育)이라고도 한다.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의 정의에 의하면 고등교육의 공통된 성격은 ① 중등교육을 수료하고 대개의 경우 어떤 형태의 선발시험을 거쳐 진학하는 18

  • 고려국사 / 高麗國史 [역사/고려시대사]

    조선전기 문신·학자 정도전·정총 등이 왕명을 받아 1395년에 편찬한 역사서. 총 37권의 편년체 사서이나 현존하지 않는다. 조선이 건국된 뒤 3개월만인 1392년(태조 1) 10월 조준(趙浚)·정도전·정총·박의중(朴宜中)·윤소종(尹紹宗) 등이 왕명을 받아 1395년에

  • 고려사전문 / 高麗史全文 [역사/고려시대사]

    조선전기 문신 신개·권제 등에 의해 찬진된 편년체의 고려 역사서. 편찬동기는 1432년 세종이 경연에서 “『고려사』가 종(宗)을 왕으로 고쳐 써서 그 진실을 잃은 것이 많으니 『태종실록』이 끝나는 대로 『고려사』를 개수하고 싶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