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고전시가 8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고전시가
  • 독락당 / 獨樂堂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노계집 蘆溪集≫ 권3에 실려 있다. 3음보 혹은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123행으로, 박인로가 지은 가사 가운데 최장편이다. 주제는 작자가 이언적(李彦迪)의 유적인 경주 옥산서

  • 독락팔곡 / 獨樂八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제목에는 8곡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7곡만이 작자의 문집인 『송암별집 松巖別集』에 수록되어 있다. 현존하는 경기체가 가운데 가장 마지막 작품이어서 주목된다. 1860년(철종 11)에 민규(閔圭)가 지었다는

  • 돌아악 / 突阿樂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 때 제작된 가악(歌樂)으로 가사는 현재 전하지 않는다. 『삼국사기』 잡지(雜志) 악조(樂條)에 제목만 소개되어 있다.

  • 동가선 / 東歌選 [문학/고전시가]

    1830년(순조 30)대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가집. 유명씨 작품 142수, 무명씨 작품 93수로 총 235수가 실려 있다. 책머리에 평조(平調)·우조(羽調) 등의 용어에 대한 간략한 해설을 하고, 초중대엽(初中大葉)·이중대엽(二中大葉) 등 곡조에 따라 편차를 두었다.

  • 동국악보 / 東國樂譜 [문학/고전시가]

    홍만종(洪萬宗 : 1643∼1725)이 편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집. 고종 31년(1894)에 간행된 『송강별집(松江別集)』 권7에 인용된 일서(逸書)로, 『송강별집』이 인용한 『동국악보』의 평어(評語)가 홍만종의 『순오지(旬五志)』에 있는 장가평어(長歌評語)와 일

  • 동동 / 動動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고려시대에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시대에 문자로 정착된 듯하다. 가사는 한글로 『악학궤범』에, 작품해설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각각 실려 있다. 내용에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이 많다 하여 고려시대의 속요(俗謠)

  • 동백목 / 冬柏木 [문학/고전시가]

    고려 충숙왕 때 채홍철(蔡洪哲)이 지은 가사. 작품은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하며, 그 일부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 동유감흥록 / 東遊感興錄 [문학/고전시가]

    심복진(沈福鎭)이 지은 일본국기행가사집(日本國紀行歌辭集). A5판. 28면. 국한문활자본.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에서는 동화정책상(同化政策上) 지방군수·면장 등 공직자 가운데서 단원을 모집하여 3∼4주간 일본 각지를 관광시켰다. 그 뒤 그들이 본 것 중에서 일본의 발

  • 두율 / 杜律 [문학/고전시가]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18.7×16.8cm이다. 당(唐)나라의 두보(杜甫)가 지은 것으로, 권수는 2권 1책이다. 두보의 시를 모아 놓은 두율(杜律)의 필사본이다.

  • 마설가 / 魔說歌 [문학/고전시가]

    18세기 말에 지형(智瑩)이 지은 불교가사 「참선곡」의 이본.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253구. 필사본 『악부(樂府)』(1930년대)에 수록되어 있다. 인혜신사(印慧信士) 지형(智瑩)이 1795년 불암사에서 판각하여 펴낸 「참선곡」의 이본이다. 「참선곡

페이지 / 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