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역도산 / 力道山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세계 프로레슬링계를 제패한 체육인. 함경남도 출신. 1939년 일본에 건너가서 모모타[百田光浩]로 개명, 이듬해부터 역도산(力道山)이라는 별명으로 일본씨름을 시작하였다. 1949년 26세로 세키와키[關脇]의 지위에까지 올랐으며 1951년 세계적인 프로레슬러인

  • 연경좌담 / 演經坐談 [언어/언어/문자]

    1923년에 게일((James S. Gale))이 만든 노래복음서. 활판본. 게일이 서문을 마치고, 한국 기독교 문학에서 간행한 것으로, 가사만 남아 있는 찬송가집이다. ‘연경좌담(演經坐談)’이라는 서명의 의미는, ‘성경을 연기하듯이, 앉아서 이야기하듯이’ 모여서 함

  • 연극학 / 演劇學 [예술·체육/연극]

    연극에 관련된 여러 요소·행위·현상을 학문적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우리 나라 연극에 관한 통사적 연구는 1939년에 발간된 김재철의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가 그 효시이다. 관련 학회로서는 한국연극학회 등이 있으며, 대학의 일부 어문학과(특히 국문학과) 및 연극학

  • 연무공원 / 鍊武公院 [교육/교육]

    1888년에 설치된 사관양성학교. 임오군란으로 신식군대의 양성이 좌절되자, 1888년 연무공원을 설치하여 미국인 교관을 통해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학생들이 양반 신분에 속하여 엄격한 군대 훈련을 받지 않으려고 하였으며, 연무공원을 졸업한 후에도 과거에 합격해야만

  • 연방집 / 聯芳集 [종교·철학/유학]

    1922년에 13대 종손인 윤관하 등이 펴낸 책으로, 목판본, 2책. 이 책의 서문은 1922년에 윤관하가 쓰고, 발문은 1922년에 윤성하가 붙인 것으로, 「귤정유고」, 「해빈유고」, 「졸재유고」, 「행당유고」 등이 합본되어 있으며, 끝에는 누구의 시부인지 파악되지

  • 연산향교 / 連山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22년·1933년·1961년·1967년·1971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

  • 연세대학교스팀슨관 / 延世大學校스팀슨館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연세대학교에 있는 건물. 사적 제275호. 1915년 경신학교대학부로 발족한 연희전문학교는 1917년에 정식 학교인가를 얻고 당시의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창천리에 터를 잡아 1918년부터 캠퍼스를 건설하기 시작하였는데, 본관인 스팀슨관은 19

  • 연세대학교아펜젤러관 / 延世大學校아펜젤러館 [예술·체육/건축]

    사적 제277호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연세대학교에 있는 건물.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에서 1922년에 건설한 캠퍼스 중 이학관으로 지은 건물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신학관이다. 1921년 4월에 착공하여 1922년 3월에 준공하였는데, 설계는 당시 연희전

  • 연쇄극 / 連鎖劇 [예술·체육/연극]

    실연(實演)과 영화를 섞어 상연하는 극.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나온 연쇄극은 1919년 10월 27일에 단성사에서 공연된 신극좌(新劇座)의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이다. 연쇄극의 출현은 우리 나라 영화의 효시가 되기는 하였지만, 연극에 있어서는 작품의 질을 떨어뜨리고

  • 연시가 / 年時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1929년상주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목판본으로 간행된 『용담유사(龍潭遺詞)』 제16편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라는 주장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현재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종이 있다. 2음보 1구로 총 1,164구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