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성제원 / 成悌元 [종교·철학/유학]

    1506년(중종 1)∼1559년(명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부원군 성여완의 고손, 부친은 성몽선, 모친은 평양조씨이다. 유우의 문하에서 수학, 과거공부 보다는 고도에 힘썼다. 산경‧지지‧의학‧복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553년(명종 8) 6품관에 제수되었다가

  • 성진령 / 成震齡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창녕부원군 성여완 후손, 증조는 성하창, 조부는 성초일, 부친은 성인동이다. 형으로 성석령·성현령이 있다. 1711년(숙종 37) 식년시 진사 2등 8위로 합격하고, 1713년(숙종 39) 증광시

  • 성천서원 / 星川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월성리에 있었던 서원. 1703년(숙종 2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준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

  • 성천유집 / 省川遺集 [종교·철학/유학]

    송상익의 문집. 석판본, 송수선,1987,4권 2책. 권1에 시 114제154수, 권2에 시 114제 151수 등 총 228제 305수가 실려 있다. 권2말미에 김영한 등 31명이 1956년 저자의 회갑을 맞이하여 지은 <수연운>34수, 이유화 등 17명이 저자의 죽음

  • 성팽년 / 成彭年 [종교·철학/유학]

    1540(중종 35)∼1594(선조 27).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한량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유생으로 있었다. 그러던중 1569년(선조 2) 아버지가 죽자 학업을 그만두고 오직 어머니에게 효성을 다하였다. 저서로는 문집인『석곡집』이

  • 성학십도 / 聖學十圖 [종교·철학/유학]

    이황이 성학의 핵심을 그림으로 설명한 책. 1권 1책. 10폭밖에 안 되는 간단한 것이지만, 유학의 근본원리와 수행방법을 총망라하여 진수를 압축한 것이다. 또 이황의 유학사상 전반이 일목요연하게 잘 나타나 있다. <퇴계전서>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체재는 열 개의 도와

  • 성학집요 / 聖學輯要 [종교·철학/유학]

    이이가 <대학>을 성리학의 입장에서 풀이한 책. 그는 <대학>의 본뜻을 좇아 <사서오경> 및 성현의 말을 표출하고 여기에 선현과 자신의 주석을 덧붙였다. 13권 7책으로 되어 있다. 편찬동기는 임금의 학문과 치도를 돕기 위해 학문의 요령을 앋을 수 있는 자료로 편찬하는

  • 성한 / 成僩 [종교·철학/유학]

    1664(현종 5)∼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대팽이다. 1689년(숙종 15) 원자 위호 문제로 송시열 등 서인이 조정에서 쫓겨나고 인현왕후가 폐출되자 그는 이를 개탄하여 상소하려 하였으나, 장인 허격이 극력 저지하여 그만두었다. 전설사별제,

  • 성해응 / 成海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60∼1839). 1783년(정조 7)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88년 규장각 검서관으로 임명되었다. 뒤에 내각에 있으면서 북학파 인사들과 교유하였으며 각종 서적을 두루 섭렵하였다. 관직은 금정찰방·음성현감 등을 지냈다. 문집으로《연경재전집

  • 성헌징 / 成獻徵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676(숙종 2).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호영, 어머니는 이동야의 딸이다. 그의 저술인「천도책」은 천지조화의 묘를 극론한 대문장이라는 평이 있다. 저서로는『통허재문집』이 있다.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