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이병모 / 李秉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806). 영조·정조·순조 대에 청요직을 역임 후 1799년과 180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동지부사로서, 진하사로서, 책봉주청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를 정조 명으로 편찬하였다.

  • 이병묵 / 李丙默 [역사/근대사]

    1900-1931년. 독립운동가. 본관은 전주(全州). 일명 병묵(炳默)·경도(景璹). 서울 출생. 북로군정서 참모장 윤세용(尹世茸)의 사위이다. 서울 중앙학교(中央學校)에 다닐 때 이미 만주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던 친형 병욱(丙旭)과 연락하며 국내 항일운동상황

  • 이병삼 / 李丙三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구미무도학관 관장 등을 역임한 무용가.교육자. 러시아 해삼위(海參威,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생했다. 이병삼은1920년대에해삼위 학생음악단의 박시몬, 해삼위 동포연예단의 김동한과 더불어 해삼위에서 온 이른바 무도 3인방으로 알려져 있었다. 1923년 5월부터

  • 이병상 / 李秉常 [종교·철학/유학]

    1676(숙종 2)∼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제 증손, 할아버지는 정기, 아버지는 항, 어머니는 최계웅의 딸이다. 1710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 좌상 이관명의 천거로 관계에 진출하였다. 검열을 거쳐, 정언·수찬, 이조좌랑·교리·대사간·대사성·이

  • 이병성 / 李秉成 [종교·철학/유학]

    1675(숙종 1)∼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산보 5대손, 아버지는 속, 형이 병연이다. 김창흡의 문인이다. 1702년(숙종 28) 진사시에 합격하여 사환하였으나 대과에 급제하지 못하여 청요직을 역임하지 못하였고, 군수·공조정랑 등을 역임하고 부사에

  • 이병연 / 李秉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시인(1671∼1751). 김창흡의 문인이다. 영조 때 최고의 시인으로 일생 동안 1만 300여 수에 달하는 시를 썼다고 전해지는데, 그 중 500여 수가 현존한다. 시 작품의 대부분은 서정성이 강한 산수·영물 시이며, 저서로《사천시초》가 있다.

  • 이병원 / 李秉遠 [종교·철학/유학]

    1774년(영조 50)∼1840년(헌종 6).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조부는 이상정, 부친은 이완, 모친은 이범중의 딸이다. 형은 이병운이다. 부인은 이만운의 딸이다. 김종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01년(순조 1) 음직으로 목릉참봉·의금부도사·청하현감·비안현감

  • 이병위 / 李丙緯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운동회 기획운영』, 『고등체육』, 『대학체육』 등을 저술한 학자.체육학자. 1906∼1973. 전라남도 담양 출생. 1926년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8년에 일본체육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32년 고창중학교 교사를 지냈으며, 1940년 전라남도

  • 이병학 / 李丙學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올림픽위원회 부회장, 대한체육회 부회장 등을 역임한 체육인. 1898∼1963. 본관은 전주(全州). 서울 출신.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덕원(德源)에서 독일계통의 성베네딕트수도원에서 2년간 수도하였다. 그 뒤 일본체육전문학교(지금의 일본체육대학)를 졸

  • 이병헌 / 李炳憲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1940년. 일제강점기에 활동하였던 유교개혁사상가·공교운동의 지도자·금문경학자. 곽종석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였다.1914년 45세 때 중국에 건너가서 강유위를 처음 만난 뒤로 1925년 56세 때 다섯번째 방문하는 12년 동안은 강유위의 지도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