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눌재고 / 訥齋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태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3책. 석인본. 1935년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이 있다. 국민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66수, 권3에 소(疏) 15편, 차(箚) 2편, 계(啓) 1

  • 눌행재유고 / 訥幸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사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2책. 목활자본. 1935년에 이장환(李奬煥)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윤자화(尹滋華)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종택(李種宅)·이장환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 눌헌문집 / 訥軒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서성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1890년(고종 27) 5대손 병영(丙永) 등의 편집을 거쳐, 1898년 7대손인 상종(相鍾)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5대손

  • 늑당유고 / 扐堂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회목의 시·서(書)·제문·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회목의 아들 이준경(李準境)·이준섭(李準燮)과 재종질 이준로(李準輅)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호(李從鎬)의 서문이, 권말에 이준로·이준경·이준섭 등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500여

  • 능마아청 / 能麽兒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무관에게 병학을 고강하고 권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629년(인조 7) 1월 이귀·이서 등의 건의로 설치되어, 오위도총부·훈련원의 낭청·내삼청의 금군 및 여러 대장의 군관 등이 모두 학습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능마아청은 한 달에 여섯 차례의 능마

  • 능엄경사기 / 楞嚴經私記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의첨이 『능엄경』을 해석하여 1797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1권 1책. 목판본. 1797년(정조 21) 팔공산 동화사(桐華寺)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홍직필(洪直弼)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희문(喜聞)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능엄경』에서 설명한

  • 능원천봉도감의궤 / 陵園遷奉都監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능과 원의 천장에 관한 의식과 절차 등을 기록한 의궤. 이 의궤는 크게 『천봉도감의궤(遷奉都監儀軌)』와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로 구분되는데 모두 22종이 있다. 천장한 연대순으로 본 능·원의 명칭과 능·원별 의궤의 수는 선조목릉(宣祖穆陵) 2종, 원종

  • 능주 / 綾州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옛 지명. 1018년(현종 9) 나주(羅州)에 속하였으며, 1143년(인종 21) 현령(縣令)을 두었다. 1416년(태종 16) 화순이 병합되어 순성(順城)으로 개칭되었다가 2년 후에 분리되었다. 1594년(선조 27) 화순이 또 병합되었다가 16

  • 능주삼충각 / 綾州三忠閣 [사회/가족]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조선후기 최경희·문홍헌·조현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77호. 임진왜란 때 진주성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한 최경회(崔慶會)와 문홍헌(文弘獻), 그리고 1555년(명종 10) 을묘왜변 때 해남에서

  • 능주지 / 綾州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도 능주목(현 화순군 능주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책(45장).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관직·산천·영애(嶺隘)·강계(疆界)·성씨(姓氏)·풍속·단묘(壇廟)·공해(公廨)·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