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여운형 / 呂運亨 [역사/근대사]

    1886-1947. 구한말의 독립운동가·정치가. 상해에서 민단을 조직하였으며, 신한청년당을 조직하여 총무간사에 취임하였다. 1919년 임시정부 수립에 가담하여 임시의정원 의원을 역임하였고, 광복 후에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으로 좌우합작운동 중 암살당하였다.

  • 여유당전서 / 與猶堂全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의 저술을 총정리한 문집. 154권 76책. 활자본. 1934∼1938년에 걸쳐 신조선사에서 발행되었다. 이 책의 편자는 외현손 김성진, 정인보와 안재홍이 교열에 참여하였다. 제1집은 25권 12책으로 시문집, 제2집은 48권 24책으로 경집,

  • 여주민란 / 驪州民亂 [역사/근대사]

    1885년초경기도 여주군에서 발생한 민란. 이 난은 도결(都結)의 문제로 발생했으나, 퇴임한 향리 윤보길의 오랜 부정에도 원인이 있었다. 이 민란은 어느 정도 계획적인 양상을 보였는데, 농상계의 조직을 중심으로 민란이 계획되었기 때문이었다. 농민들은 손에 몽둥이를 들고

  • 여창가요록 / 女唱歌謠錄 [문학/고전시가]

    편자·연대 미상의 가집(歌集). 국문필사본. 1책. 곡조명을 「막드는자즌한입」·「중허리드는자즌한입」과 같이 구체적인 우리말로 풀어놓았다. 이 가집은 이화여자대학교본·가람본·도남본·정병욱본·도요문고본(東洋文庫本)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작품 수록수는 도요문고본이 완본이다

  • 여창유취 / 女唱類聚 [문학/고전시가]

    1876년(고종 13)에 박효관(朴孝寬)과 안민영(安玟英)이 펴낸 것으로 추정되는 가집. 『여창유취』에는 총 178수의 시조가 수록되어 있는데, 정철(鄭澈)의 시조 3수를 비롯하여 권필(權韠)·황진이(黃眞伊)·이후백(李後白)·강백년(姜栢年)·안민영·황희(黃喜)·이정신(

  • 여한십가문초 / 麗韓十家文抄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김택영(金澤榮)이 편한 고문선집. 11권 1책. 신활자본. 『여한십가문초』 권1에 김부식(金富軾)의 표(表) 1편, 기(記) 1편, 전(傳) 4편, 권2에 이제현(李齊賢)의 서(書) 2편, 서(序) 4편, 기 2편, 권3에 장유(張維)의 서(序) 2편,

  • 역대국왕왕비추존단자 / 歷代國王王妃追尊單子 [정치·법제]

    대한제국 말기에 조선의 역대 국왕 및 왕후 중 존호, 묘호, 시호 등을 추상하거나 지위를 추존하고 그에 따라 책보를 올린 내역을 기록해 둔 것으로 보이는 목록. 《순종실록》에 의하면 1908년(순종 1) 7월 30일에 진종, 헌종, 철종에게 추존 책보를 올렸다 하고,

  • 역대유림초기 / 歷代儒林抄記 [정치·법제]

    이왕직(李王職) 인찰공책지에 필사한 문서. 설총(薛聰), 최치원(崔致遠)부터 송명흠(宋明欽), 박성원(朴性源)에 이르는 유림의 계통을 작성한 것이다. 각 인물의 성명과 자와 호, 본관, 활동시기 등을 정리하였다.

  • 역대천자문 / 歷代千字文 [언어/언어/문자]

    1911년에 이상규(李祥奎)가 간행한 천자문 형식의 학습서. 집안 아이들 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혜산(惠山) 이상규는 고성 무양리에서 산청 묵곡으로 이거한 후에 1902년 학이재(學而齋)를 창건하였다. 이상규는 자질 교육을 위해 교재 편찬에 착수하여 1910년 책의 본문

  • 역도 / 力道 [예술·체육/체육]

    체급 별로 바벨을 머리 위로 들어올려 그 중량을 겨루는 경기. 경기는 몸무게에 따라 10체급으로 나누어지며 같은 체급끼리 승패를 겨룬다. 소련·동유럽을 중심으로 구미에서 성행되는 경기로, 체력육성, 특히 근력양성에 좋은 종목이다. 1896년 아테네에서 개최된 제1회 올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