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종독차사건 / 高宗毒茶事件 [정치·법제/정치]

    1898년 김홍륙을 제거히기 위해 조작한 사건. 1898년 7월 궁내부대신에 임명된 이재순은 김홍륙을 정계에서 축출하려고 음모를 계획했다. 1898년 8월 김홍륙은 통역시 러시아와 대한제국의 관계를 임의로 조작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어 흑산도에 유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 고종실록 / 高宗實錄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 이왕직의 주관 하에 고종45년간의 역사를 편년체로 편찬한 역사서.실록. 1927년 4월 1일부터 1935년 3월 31일까지 만 8년에 걸쳐 이왕직(李王職) 주관 하에 편찬, 간행되었다. 편찬 계획에는 1년 기사를 1권 1책에 수록할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 고종어명망단 / 高宗御名望單 [정치·법제]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난 철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고종의 이름을 의정하기 위해 1863년(고종 즉위년) 12월 13일 빈청에서 올린 어명 망단. 이 망단은 세 자를 써 삼망을 올렸는데, 신정왕후가 직접 낙점을 하지 않았으나《고종실록》등에 수망인 '희(熙)'로 정해졌

  • 고종어자망단 / 高宗御字望單 [정치·법제]

    고종이 왕위에 올랐을 때, 자를 의정하기 위해 1863년(고종 즉위년) 12월 13일 빈청에서 올린 어자 망단. 이 망단은 고종의 자로 '성림(聖臨), 경명(敬明), 덕현(德顯)'의 세 가지를 써 삼망으로 올린 것이다. 이 망단에는 낙점과 '계'자 도장은 물론 승정원의

  • 고종의누비저고리 / 高宗의누비저고리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 고종이 평상복으로 입었던 오목누비(五目縷緋) 저고리. 고종이 평상복으로 입었던 누비저고리 1점으로 고종의 질녀(姪女)인 안동김씨 김인규의 부인이 입궐하였을 때 하사받은 유물이다. 오늘날 전하는 한말의 왕실유물들이 대부분 예복임에 반해 이 옷은 고종이 평상복으

  • 고종조진신유현록 / 高宗朝縉紳儒賢錄 [언론·출판/출판]

    송현수(宋顯洙) 편, 석인본, 미상, 2권 2책. 고종(高宗) 때의 관제와 과거 합격자, 유림, 효자 등의 명단을 기록한 책이다. 2책이 합철되어 있다.

  • 고종즉위40년칭경기념비 / 高宗卽位四十年稱慶紀念碑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비. 1902년 건립. 총 높이 450㎝, 비신높이 250㎝, 너비 95㎝, 두께 40㎝. 사적 제171호. 고종의 즉위 40돌을 기념하고 아울러 51세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입사한 일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

  • 고종황제능호망단 / 高宗皇帝陵號望單 [정치·법제]

    고종이 승하한 직후인 1918년 12월 26일에 능호를 정하기 위해 올린 대행대왕능호 망단. 이 망단은 능호로 '정릉(正陵), 헌릉(憲陵), 철릉(哲陵)'이라고 써서 삼망을 갖추어 올린 형식이다. 이 망단에 대해서 그대로 따르지 않고 '홍릉으로 한다'는 비답을 써서 능

  • 고종황제묘호망단 / 高宗皇帝廟號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26대 국왕이자 대한제국의 광무황제인 고종이 승하한 직후인 1918년 12월 26일 묘호를 정하기 위해 올린 대행대왕묘호 망단. '고종(高宗), 신종(神宗), 경종(敬宗)'을 써서 삼망을 갖추어 올린 형식이다. 이 망단에 '수망을 공경히 따른다'는 비답을 내림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