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이발 / 李潑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89(선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달선 증손, 할아버지는 공인, 아버지는 중호, 어머니는 윤구의 딸이다. 김근공·민순의 문인이다. 1573년(선조 6) 알성문과에 장원, 이듬해 사가독서를 하고, 이조정랑으로 발탁되었다. 1579년 응교,
이방익 / 李邦翼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충장장, 오위장, 전주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아버지는 탐라도에서 여러 대를 살아오며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장을 지낸 이광빈(李光彬)이다. 1784년(정조 8)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선전관·충장장(忠壯將)·오위장·전주중군(全州中軍)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
이범석 / 李範奭 [역사/근대사]
1900-1972년. 독립운동가·군인·정치가. 아버지는 문하, 어머니는 연안이씨이다. 8세 때 김해김씨를 새어머니로 맞이하였다. 1915년 여운형과 함께 중국으로 건너가 1916년 항저우체육학교, 원난강무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919년 신흥무관학교 교관, 북로
이범윤 / 李範允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관리·독립운동가(1863-?). 간도시찰원과 간도관리사 때 사포대 조직과 군사훈련 실시로 청국의 조세징수 등을 거부하며 한인보호에 힘썼다. 경술국치 후 일으킨 의병으로 청산리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웠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이범진 / 李範晋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순국지사(1852∼1910). 주러시아공사 때 러시아의 용암포조차요구를 승인한 대한제국공문을 전하지 않고, 1905년 한국공사소환에 불응, 1907년 고종밀사 헤이그만국평화회의장 안내 및 연설기회제공, 경술국치 때 자결,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아
이범호 / 李梵湖 [예술·체육/국악]
생몰년 미상. 범패(梵唄)의 명인. 백련사(白蓮寺)의 승려로서, 같은 절의 서만월(西滿月)을 사사하여 봉원사의 이월하(李月河)와 함께 그 명성을 떨쳤다. 제자로는 백련사의 유창렬(柳昌烈), 학도암(鶴到庵)의 김운공(金耘空)과 김보성·안덕암(安德庵)·만허(滿虛) 등 출중
이벽 / 李檗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학자(1754∼1786). 초기 천주교인. 1779년(정조 3) 기호 지방의 남인 학자들이 광주의 천진암과 주어사에서 강학회를 열었을 때, 천주교에 대한 지식을 동료 학자들에게 전하여 신앙운동이 일어나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말년에 효 사상과 천주교 사상
이병 / 李炳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학자. 식의 현손, 할아버지는 익, 아버지는 인실이다. 저서로는 단천에 유배되었을 때에 지은『부춘당북천록』이 있다.
이병곤 / 李炳坤 [역사/근대사]
1921년∼1979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일명 뇌명(雷明), 평안북도 용천 출신이다. 1938년 항일투쟁을 벌이던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에 입대하여 활동하였다. 중국에서 광복군으로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1977년 건국포장을
이병립 / 李柄立 [역사/근대사]
1904년(광무 8)∼미상. 1917년부터 1919년 화룡현 공립 제16국민학교, 1924년 중동학교를 졸업, 연희전문학교 진학하여 재학 중 1924년 박일병·김찬 등이 조직한 사회주의운동 단체인 신흥청년동맹 집행위원에 선임, 1925년에는 이선호·정달헌 등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