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성삼문 / 成三問 [종교·철학/유학]
1418(태종 18)∼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성석용 증손, 할아버지는 성달생, 아버지는 성승이다. 어머니는 박첨의 딸이다. 1438년에는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했으며, 1447년에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다시 급제하였다. 집현전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한
성서조선 / 聖書朝鮮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잡지. 1927년 7월에 창간, 무교회주의를 표방하였다. 창간 당시 발행인은 유석동, 편집인은 정상훈이었다. 그 밖에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양인성 등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민족위기를 성서연구를 통해 극복할 것을 주장하였다. 기성교회를 비판하는 글들을 발표하였
성서집 / 城西集 [종교·철학/유학]
이상언의 문집. 6권 3책. 석인본. 후손 이운호가 남은 원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간행 연도는 김회진가 발문을 쓴 것이 1955년 정월이므로 이해에 간행한 듯하다. 권1에는 시 73제 79수, 권2에는 시 104제 118수가 실려 있다. 권3에는 시 121제 125
성석린 / 成石璘 [종교·철학/유학]
1338(충숙왕 복위 7)∼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미, 아버지는 여완이다. 어머니는 나천부의 딸이다. 해주목사, 정당문학, 개성부판사, 좌정승,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1415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다시 부원군으로 물러나서 쉬니
성석용 / 成石瑢 [종교·철학/유학]
?∼1403(태종 3).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미, 아버지는 여완, 어머니는 나천부의 딸이다. 영의정 석린의 아우이다. 1376년(우왕 2)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대사헌, 개성유후, 보문각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성선설 / 性善說 [종교·철학/유학]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하다고 보는 학설. 맹자가 최초로 체계화시켰다. 그에게 있어서 성선이라 함은 인간 고유의 본질로서 인성이 선하다는 것이다. 맹자는 성선의 사실을 인의예지의 4단으로 설명했다. 사단은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뜻하는 것이다.
성수침 / 成守琛 [종교·철학/유학]
1493(성종 24)∼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학자. 득식 증손, 할아버지는 충달, 아버지는 세순이다. 어머니는 김극니의 딸이다. 조광조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내자시주부, 예산현감, 토산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청송
성악설 / 性惡說 [종교·철학]
인간의 본성을 악하다고 보는 학설. 순자가 체계화하였다. 맹자의 성선설과 대조를 이룬다. 순자는 성을 악으로 보고, 선은 인위적으로 보았다. 그는 선천적인 도덕성을 근본으로부터 부정하면서 후천적인 경험과 수양과 문화적인 노력에 의해 인간은 형성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순
성암유고 / 惺庵遺稿 [종교·철학/유학]
박종후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성암유고>는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구체적인 간행상황을 알 수 없다. 권1에는 시 176수, 권2에는 편지글 19편‧서 3편‧기 4편‧발 6편‧잡저 3편이 실려져 있다. 권3에 잠 3편‧명 4편‧상량문 4편‧제문 7편, 권4에는 행
성암집 / 誠庵集 [종교·철학/유학]
김세영의 문집. 석판본, 후지:김승학(1962), 4권2책. 권1에는 187제 268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명승고적을 유람하며 읊은 경물시와 만시및 차운이 많다.권2와 권3에는 서 93편이 실려 있고, 권4에는 잡저 5편, 발 1편, 제문23편, 뇌사1편, 묘갈명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