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정리양천허씨정려 / 高井里陽川許氏旌閭 [사회/가족]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허씨 부인 관련 정려각.시도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9호. 1동. 조선시대의 화려하고 특이한 건축양식의 일면을 보여주는 정려(旌閭: 충신·효자·열녀 등을 기리기 위해 그들이 살던 고을에 세운 정문(旌門))이다. 정려는

  • 고정리지석묘 / 高停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고정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경기도 기념물 제91호. 구릉선상에 3기의 지석묘가 분포되어 있다. 이 가운데 1기는 탁자식(卓子式) 지석묘이며 나머지 2기는 땅 속에 묻혀 있어 정확한 구조를 확인하기 어렵다. 확인이 가능한 탁자식 지석묘의 상

  • 고정식 / 高貞植 [역사/근대사]

    미상-1923.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제주도 고산명(高山面) 읍내리(邑內里) 출신이다. 아버지는 고산 부호 고갑준(高甲俊)이다. 1920년 김진성(金振聲: 1892∼1968)·이순명(李順明)·김한규(金漢奎)와 함께 아버지 고갑준을 위협하여 현금 9천6백원을 군자금으

  • 고정옥 / 高晶玉 [문학/구비문학]

    국문학자.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29년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거쳐 법문학부 문학과에서 조선어문학과를 전공하였다. 재학 중 일본인 교수 다카하시[高橋亨] 밑에서 김사엽(金思燁)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광복 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로 있었으며 6·25 중에

  • 고정인물성고 / 考亭人物性考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박문호가 사서삼경을 비롯한 여러 문헌 중 인물성에 관한 학설을 발췌하여 풀이한 유학서. 4권 4책. 필사본. 1901년 편집되었으며, 권두에 편집자 박문호(朴文鎬)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사서삼경주해, 권2에 대전(大全)·속별집·사서혹문(四書或問)·태극통

  • 고정희 / 高靜熙 [문학/현대문학]

    1948-1991.시인. 1975년『현대시학』에 「연가」, 「부활 그 이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한 고정희는 타계하는 해인 1991년까지 모두 열 권의 시집을 상재한 시인이다. 첫 시집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1979) 이후 『실락원 기행』(1981), 『초

  • 고제신 / 高濟臣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일명 문경(文京). 전라북도 부안 출생. 3·1운동 이후 적극적인 투쟁방법을 통한 독립쟁취를 위하여 한우석(韓禹錫)과 같이 일본 고관 총살단을 조직하고 권총을 구입, 준비에 만전을 기하였다. 그러나 삼엄한 호위로 실행이 어렵게 되자 임성태(林

  • 고제언 / 高濟彦 [역사/근대사]

    1890-1973.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자는 주언(周彦)이고, 호는 곤은(崑隱)이며,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전라북도 고창(高敞)에서 태어났다. 숙부 수남(秀南) 고석진(高石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천성이 너그러우며 용모가 단정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

  • 고족배 / 高足杯 [예술·체육/공예]

    ‘팔(八)’자로 뻗은 높은 다리 위에 완(椀) 모양 배신(杯身)이 붙은 잔. 한반도에서 고족배는 삼국시대부터 등장하였다. 이때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제작된 고족배를 학계에서는 보통 고배(高杯)라고 한다. 이 시기의 고족배는 각각의 지역적 특징을 보이며, 점차

  • 고종 / 高宗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제26대 왕(1852∼1919). 재위 1864∼1907년. 1873년 흥선대원군에게 주었던 권한을 환수 친정체제를 구축하려 했으나, 정권은 도리어 민비와 그 척족들에게 넘어갔다. 1876년 민씨정권의 개방정책을 받아들여 일제와 국교를 맺었다. 1895년 8월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