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복합어 / 複合語 [언어/언어/문자]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는 둘 이상의 실질형태소가 결합된 것이며, 파생어는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결합된 것이다. 복합어와 합성어에 대한 이러한 술어사용의 구분은 문법학자간의 일치를 보여주지 않는다. 어떤 경우는 위와 정반대로 합성어를 상위개념으

  • 본궁반송 / 本宮盤松 [과학/식물]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소나무동에 있는 소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252호. 수령 450년 된 변형된 소나무로, 높이 4.16m, 밑동둘레 2.18m, 가슴높이둘레 1.9m이다. 나무의 형태는 높이 2.35m에서 1차 가지가 생겨 땅으로 구부러져 남서쪽으로 8m 정도

  • 볼링 / 볼링 [예술·체육/체육]

    손으로 공을 굴려서 레일 끝에 세워진 10개의 나무핀을 쓰러뜨리는 실내 경기. 마루(레인)는 길이 19.15m, 너비 1.66㎝이며, 마루 끝에 술병모양의 핀 10개를 역삼각형 모양으로 세운 뒤 마루의 반대편 끝쪽에서 3개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는

  • 볼음도 / 乶音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리에 있는 섬. 조선 인조 때 명나라로 가던 임경업(林慶業)이 풍랑을 만나 이 섬에 체류하다가 둥근 달을 보았다 하여 만월도(滿月島)라 하였다고 전한다. 그 뒤 둥근 달인 보름달의 발음대로 볼음도라 개칭하였으며, 발음에 따라 한자화가 이루

  • 봄 / 봄 [지리/자연지리]

    1년의 4계절 중 첫 번째인 겨울과 여름 사이의 계절. 기상학적으로는 양력 3∼5월을 말하나 천문학적으로는 춘분(3월 21일경)에서 하지(6월 21일경)까지이다. 절기상으로는 입춘(立春, 2월 4일)에서 입하(立夏, 5월 6일) 전까지를 말하며, 음력으로는 1∼3월을

  • 봉대굴 / 봉대굴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삼옥리에 있는 석회동굴. 길이 70m. 지층은 고생대의 조선계(朝鮮界)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에 속한다. 3개의 공동(空洞)이 2개의 미로로 연결되어 있다. 퇴적물로는 동굴 끝부분에 약간의 종유관(鍾乳管)이 있고 벽면에는 동굴포도가 부분적으로 발

  • 봉명광산 / 鳳鳴鑛山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외어리에 있었던 토상흑연질(土狀黑鉛質) 석탄광산. 정탄(精炭)의 탄질은 1㎏당 6,600cal로서 고질탄이므로 대괴탄(大塊炭)은 주물용의 연료로 공급되었다. 지질은 대동계(大同系) 단산층(檀山層)의 최상부 함탄대인 봉명리층(鳳鳴里層) 및 이를 부

  • 봉산군 / 鳳山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의 중앙에서 약간 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으로 서흥군, 남동쪽으로 평산군, 남서쪽으로 재령군, 북쪽으로 황주군과 접해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재령강을 건너 안악군과 마주하고 있다. 동경 125°39′∼126°04′, 북위 38°15′∼38°37′에 위치하며, 면적

  • 봉선화설화 / 鳳仙花說話 [문학/구비문학]

    봉선화 또는 봉숭아라 불리는 화초의 유래에 관한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기원담에 속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민간에 전래되는 각 편 중에는 봉선화라는 꽃 이름이 봉선이라는 궁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것과 봉선이라는 신선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의 두 가지 종류가 있

  • 봉양리뽕나무 / 鳳陽里─ [과학/식물]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에 있는 뽕나무. 강원도 기념물 제7호, 높이 약 25m, 가슴높이의 둘레 2.5m, 밑동둘레 3.25m로서 가지는 동쪽으로 11m, 서쪽으로 13m, 남쪽으로 7.7m, 북쪽으로 6.7m 정도로 퍼졌고, 나무의 나이는 약 500년 정도로 추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