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어정규장전운 / 御定奎章全韻 [언어/언어·문자]

    소학류(小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0.0×15.7cm, 반곽은 16.0×12.6cm이다. 판심제는 규장전운(奎章全韻) 上下 1책이다. 정조(正祖)가 규장각(奎章閣)의 제신(諸臣)에게 명하여 편찬한 운서(韻書)이

  • 어친척생신일람표 / 御親戚生辰一覽表 [정치·법제]

    고종 친척의 생일과 기일을 정리한 명부. 이강(李堈)과 그의 비, 이건공과 그의 비에서부터 윤홍섭모당, 고윤자작부인 등은 생신을 기록하고, 대원왕, 대원왕비, 해풍부원군모당, 엄찬정과 그의 부인 등은 기일을 기록하였다. 종이를 부착하여 수정한 부분이 있다.

  • 어학사 / 語學司 [역사/근대사]

    1880년 12월 번역에 관한 업무를 위해 통리기무아문 내에 설치한 관서. 개항 이후 신문화의 수용에 대비하여 여러 나라의 문자와 언어를 해석, 번역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설립 당시 어학당상에는 민치상과 이재긍이 임명되었다. 정1품 아문으로 전선사와 겸직이었다가, 18

  • 언더우드 / H. G. Underwood [정치·법제/외교]

    1859-1916. 1895년 춘생문사건 참여. 1895년 10월 8일 을미사변 이후 선교사 언더우드는 음식을 휴대하여 고종에게 제공했다. 1895년 11월 28일 언더우드는 주한 미국공사 실과 함께 고종을 구출하기 위한 '춘생문사건'에 참여했다. 1900년 기독교청년

  • 언론기관 / 言論機關 [언론·출판/언론·방송]

    세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이나 현상에 대해 뉴스와 정보를 취재해서 기사로 작성하고 의견을 첨가하여 대중에게 제공하는 공적인 기관.

  • 언론집회압박탄핵대회 / 言論集會壓迫彈劾大會 [역사/근대사]

    1924년 6월 21일 서울 천도교회당에서 23개 사회단체가 연합하여 총독부 당국의 언론집회탄압에 항거하여, 부당성을 경고하고 폭로하기 위한 모임. 1923년 총독부 당국의 언론집회 등에 대한 강경한 탄압정책과 친일연합단체인 각파유지연맹이 동아일보사 사장 송진우와 취체

  • 언문고시 / 諺文古詩 [문학/고전시가]

    19세기 후반에 한시·가사·풀이·소설·민요·생활지혜 등을 국문으로 필사하여 만든 노래책. 한시(고시)·가사·풀이·소설·민요·생활지혜 등 다양한 분야의 운문들과 산문들을 낭송하기 편하게 토를 달아 국문으로 필사한 문헌이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의 제목은 ‘십구수, ᄇᆡᆨ두

  • 엄복동 / 嚴福童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전조선자전차경기대회에서 우승해 민족의 자긍심을 일깨운 체육인. 서울 출생. 아버지는 선양이며, 어머니는 김씨이다. 당시 자전거 판매상인 일미상회에서 점원으로 일하던 중, 1913년 4월경성일보사(京城日報社)와 매일신보사(每日申報社)가 인천(12일)·용산(13

  • 엄인섭 / 嚴仁燮 [역사/근대사]

    생졸년 미상. 한말의 의병장. 1907년 (安重根)‧김기식(金起植)과 결의형제를 맺었고, 1908년 안중근과 함께 두만강 최하단의 일본군수비대를 급습하고 사상시키는 등의 전과를 올렸다. 그 뒤 1911년 연해주 한인사회의 결속을 다지기 위한 권업회(勸業會)에 가담하고,

  • 엄창섭 / 嚴昌燮 [역사/근대사]

    1891-미상. 독립운동가. 충청남도 부여 출신. 1919년 강경의 사립 창영학교(昌永學校)교사로 있을 때 군산의 영명학교(永明學校)학생인 강금옥(姜金玉)으로부터 3·1독립운동의 소식을 전해 듣고 3월 6·7일에 재직중인 창영학교에서 고상준(高相俊)·추병갑(秋炳甲) 등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