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농서별곡 / 隴西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권광범(權光範)이 지은 가사. 필사본. 내용은 농서의 지세와 경개로부터 시작하여 농서의 관기로 짐작되는 기생들의 이름 뒤풀이이고, 후반은 작자가 전신 기생의 양녀로부터 화류객의 꾀임과 그에 동조하는 양모의 유혹에 시달린다는 말을 듣고 그 인물과 재질이 범연
농서총론 / 農書總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남원유생 조영국이 정조의 「권농정구농서윤음」에 응하여 1799년에 저술한 농업서. 1책. 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농업의 근본을 천시(天時)·지리(地利)·인사(人事)·수공(水功)·부종(付種) 등 다섯가지로 여기고 이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천시」에서는 천시
농수문집 / 農叟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최천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1784년(정조 8) 문인인 최기대(崔基大)와 이학해(李學海) 등이 편집, 간행하여 ‘농수유고’라 하였는데, 1896년 방손인 홍식(洪植)과 세윤(世允) 등이 다시 중간한 것
농수유고 / 農叟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문정의 일기·제문·서(書)·수문록 등을 수록한 문집. 유고. 2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제1책에는 일기·제문·서(書)·수문록(隨聞錄), 제2책에는 수문록·질(秩)·논, 그리고 이징만(李徵萬)이 기록한 목호룡무고(睦虎龍誣告) 등이 실려 있다
농암가 / 聾巖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이현보(李賢輔)가 지은 시조. 1665년(현종 6)에 간행된 그의 문집 『농암문집(聾巖文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보는 영남사림(嶺南士林)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한 첫 세대였다. 그는 관직에 있으면서도 늘 강호(江湖)로 돌아가고자 마음먹었다. 그래서
농암선생사단칠정변 / 農巖先生四端七精辨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의 사단칠정에 관한 견해와 제자였던 어유봉의 『농암선생어록』을 동시에 수록한 유학서. 조선 성리학을 정초시킨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에 관한 논의를 절충한 김창협의 견해 및 그의 학문이나 출처, 유가경전의 주요 구절에 대한 해석 등을 폭넓게 제
농암잡지 / 農岩雜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창협(金昌協)이 지은 학술·문학에 대한 비평서. 4권. 목활자본. 서(序)와 발은 없고 내편 3권, 외편 1권으로 나뉘어 있다. 모두 402항목으로 되어 있다. 내편은 주로 경학에 관한 저자 자신의 학술적인 의견을 개진한 것이고, 외편은 우리 나라와 중국
농암집 / 農巖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창협(金昌協)의 시문집. 42권 15책. 활자본. 이 책은 여러 차례 증보, 간행되었다., 원집 34권은 김창협이 사망한 다음해인 1709년(숙종 35)에 문인 김시좌(金時佐) 등이 그 유문을 수집하고, 1710년에 아우 창흡(昌翕) 등이 활
농연선생어록 / 農淵先生語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과 김창흡의 「삼연어록」을 수록한 언행록. 김창협의 어록인 「농암선생어록」과 동생 김창흡의 어록인 「삼연어록(三淵語錄)」을 같은 책에 수록함으로써, 두 학자의 학문과 사상을 연계시켜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농암선생어록」은 김창협이 제자
농와문집 / 農窩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53년(철종 4) 후손 봉수(鳳秀)·건찬(鍵燦)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재만(載萬)의 발문이 실려 있다. 규장각 도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