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석란유고 / 石欄遺稿 [종교·철학/유학]
장용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 지은이의 6세손 장의진이 갑진(1904)년에 기록한 지가 있다. 1904년 승문원 부정자 평해황씨 황헌의 서문과 지은이의 직계 선조와 후손을 명기한 세계도를 본권 앞에 제시하였다.
석루집 / 石樓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이경전의 시문집. 4권 4책. 목판본. 아들 무가 병자호란에 없어지고 남은 원고를 모아 편집, 간행하였다. 권1·2에는 시, 권3에는 소·차·제문·기·발·설·명·인·상량문·서·책, 권4에는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시가 가장 많은 분량
석북집 / 石北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신광수의 문집. 16권 8책. 목판본. 1906년 5대손 관휴가 간행하였다. 이 밖에 아들 우상·기상이 사후 시문을 정리, 편집하여 엮은 필사본 8책이 따로 전한다. 권두에 장석룡의 서문이 있다. ≪석북집≫ 권1∼10은 시, 권11·12는 서, 권13
석산유고 / 石山遺稿 [종교·철학/유학]
권종원의 문집. 석판본, 발:권리주(1963)·권정흠(1964), 4권2책. 조선 후기의 문인 권종원(1880~1937)의 유문들을 모아 만든 시문집이다. 권1은 부1편, 사 1편, 시 115제 169수, 서 38편, 권2는 서 13편, 후지 1편, 잠 1편, 찬 2편
석전 / 釋奠 [종교·철학/유학]
전통 사회에서 산천(山川)·묘사(廟社)에 올리던 제사, 또는 학교에서 선성선사(先聖先師)를 추모하기 위하여 올리던 의식. 지금도 성균관과 지방의 향교(남한에 있는 231개소)에서는 해마다 봄(음력 2월)과 가을(음력 8월)의 상정일에 석전을 봉행하고 있다. 1949년
석주집 / 石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시인 권필의 시문집. 11권 4책. 목판본. 본집은 8권으로 1631년(인조 9) 이식의 문인 심기원이 간직하고 있던 구본과 이안눌의 숙부집에서 발견된 신본, 그리고 집에 보관되어 있던 난고를 추려 편집하였다. 외집 1권은 그밖의 잡문을 모은 것으로 163
석지형 / 石之珩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경하이다. 1633년(인조 11) 진사가 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뒤에 형조좌랑이 되었다. 횡성현감으로 재직중 김해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나와 오랫동안 강화부교수를 지냈다. 현종 때 개성부교수를 지냈다.
선교 / 宣敎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 신앙을 선전하여 널리 펴는 일. 파견이라는 뜻을 지닌 라틴어 ‘missio’에서 따온 종교적 용어이다. 선교의 역사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으로부터 파견된 것에서 시작되며,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사도들의 파견으로 이어져 내려왔다. 그러므로 선교의 의미 안에는
선교약조 / 宣敎約條 [종교·철학/천주교]
"1904년에 주조선 프랑스 공사 플랑시(Collin dePlancy)와 외부대신 이하영 사이에 체결된 조약. 1889년에 교민약조(敎民約條)를, 1901년에 교민화의약정(敎民和議約定)을 체결한 데 이어, 1904년 6월 9일자로 다시 선교약조를 체결하였다. 이 약조로
선농제 / 先農祭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선농단(先農壇)에서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后稷氏)에게 드리는 제사. 우리나라의 권농 행사는 신라 시조 박혁거세 17년(서기전 41)에 왕과 왕비가 육부(六部)를 순행하면서 농사와 잠사를 권장하고 감독하였다는 기록에서 처음 나타난다. 매년 경칩이 지난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