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서종급 / 徐宗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8∼1762). 권상하의 문인, 숙종 때 과거로 관직에 나아가 경종 때에 지평으로 왕세제의 대리청정을 건의한 조성복을 두둔하였다가 유배되었다. 영조가 즉위하자 다시 등용되어 진주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대사헌·홍문관제학 등 삼사
서종태 / 徐宗泰 [종교·철학/유학]
1652(효종 3)∼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학자. 병조참의 문상 아들이다. 1675년(숙종 1) 생원시에 장원, 1680년 문과별시에 급제하고, 이듬해 검열이 되어 실록청도청·낭청으로서 『현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인현왕후가 폐위
서창경 / 徐昌鏡 [종교·철학/유학]
1726(영조 2) ~ 1799(정조 23). 증조는 공완, 조부는 명구이다. 1762년(영조 38)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대나무ㆍ국화ㆍ파초를 심어 자신의 뜻을 붙이고,봄가을 경치가 좋을 때 산책하며 시를 읊조리면서 일체의 세미에는 담박하였다. 평생을 독행으로 일관하며
서창재 / 徐昌載 [종교·철학/유학]
1726년(영조 2)∼1781년(정조 5).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엽, 어머니는 권붕석의 딸이다. 이상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주역》을 스승 없이 혼자 대의를 깨달았으며, 음양·복서·병진의 설에 두루 통하였다. 권구연·홍준·권정운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토론하였
서필원 / 徐必遠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서익 증손, 할아버지는 서용갑, 아버지는 서운기이다. 어머니는 이택민의 딸이다. 김집과 정홍명에게 수학하였다.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부수찬, 사간원헌납, 이조좌랑, 평안도어사, 충
서헌순 / 徐憲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1∼1868). 1829년(순조 29)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공조판서·형조판서·전라도관찰사·예조판서·사헌부대사헌 등을 지냈다. 1850년과 1862년 각각 사은부사와 사은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67년(고종 4) 병으로 사망하
서호수 / 徐浩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1736∼1799). 할아버지는 종옥, 아버지는 명응이다. 어머니는 이정섭의 딸이다. 큰 아버지 명익에게 입양되었다. 1765년 식년 문과에 장원하여, 홍문관부교리·도승지·대사성·대서헌 등을 지냈다.《동국문헌비고》·《규장총목》·《국조보감》·《
서효수 / 徐孝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6∼1753). 1744년 춘당대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지정자·세자시강원설서·사서·지평·정언·부수찬·지제교·경연검토관·춘추관기사관·세자시강원문학·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연구에 열중하였고, 특히 주자학에 밝았다.
서희순 / 徐憙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3∼1857). 1816년(순조 16)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대교·응교·대사성·이조참의·대사간·홍문관부제학·이조참판·예조참판·직제학·대사헌·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855년(철종 6) 진위 겸 진향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석가모니 / 釋迦牟尼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개조이름. 석가는 종족의 이름이다. 석가모니는 석자족 출신의 성자란 뜻이다. 중인도의 가비라의 성주 정반왕의 태자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마야부인이다. 석가의 생몰년대는 여러 이설이 있다. 중국, 한국 등 북방에서는 BCE 627년으로 불탄년을 기려왔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