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용석 / 高龍錫 [역사/근대사]

    1895-1950.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자는 치현(穉賢)이다.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출신지는 전라남도 장성군(長城郡) 북이면(北二面) 모현리(募峴里)이다. 의병장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14세손이다. 타고난 성품이 명민하였으며, 항상 나라 잃은 설움에

  • 고용주 / 高墉柱 [역사/근대사]

    1865-1930. 일제강점기 유학자·교사. 자는 현중(玄仲), 호는 봉계(鳳溪)이며, 본관은 장택(長澤) 또는 장흥(長興)으로, 출신지는 전라남도 구례(求禮)이다. 소천 왕사찬과 매천(梅泉) 황현(黃玹)에게 사사하였다. 1903년(광무 7) 고종황제에게 시책(試策)

  • 고용진 / 高龍鎭 [역사/근대사]

    1850년(철종 1)∼1922년.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자는 운서(雲瑞), 호는 송재(松齋), 본관은 장흥(長興), 전라북도 고창 출신이다. 1906년 최익현(崔益鉉)이 강회(講會)를 가장하고 의병을 일으키자, 포수 30여명을 이끌고 의병으로 들어갔다. 1912년

  • 고용허가제 / 雇傭許可制 [사회/사회구조]

    2004년 8월 시행된 사업자가 외국인 인력을 고용하는 것을 허가하고 관리하는 제도. 2003년 8월「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2004년 8월부터 시행된 고용허가제는 심각한 인력부족을 겪고 있는 제조업이나 3D업종 부문의 사업체들에 대해 해외의

  • 고운 영정 / 孤雲影幀 [예술·체육/회화]

    신라 말의 학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의 영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6호. 세로 105㎝, 가로 74㎝.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일곡동 학남서원 계동사(1882년 건립)에 소장되어 있다. 화면의 왼쪽 상단에 세로로 ‘신라최선생고운지진영’(新羅崔先生孤雲之眞影)

  • 고운당필기 / 古芸堂筆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필기류 작품. 4권 2책. 한문필사본. 『고운당필기』의 체재는 제3·4권은 1792년(정조 16)에서 1793년, 제5·6권은 1793년에서 1801년(순조 1)까지의 일들이 연대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 나라의 문학·예술

  • 고운문집 / 孤雲文集 [종교·철학/유학]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6년에 간행한 시문집. 『고운문집』은 최치원의 저술 중에서 『계원필경집』과 『사산비명』을 제외한 시문 모두를 모은 것으로 사실상 습유(拾遺)의 성격을 띤다. 최치원은 평생 엄청난 분량의 시문을 이룩했지만 오늘에

  • 고운사가운루 / 孤雲寺駕雲樓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학자 최치원이 승려 여지대사 등과 창건한 사찰건물.시도유형문화재. 정면 5칸, 측면 2칸의 익공계 팔작지붕건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1호.고운사는 의상(義湘)이 창건한 절로, 신라 말엽 최치원(崔致遠)이

  • 고운산 / 古雲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운산 지역의 옛 지명. 운산읍내에서 서남쪽으로 150리에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바다에 접하고 동쪽으로는 가산(嘉山)과 경계를 이룬다. 운산군은 본래 발해·거란·여진의 땅이었으나, 947년(정종 2) 고려의 영토가 되었으며 운중군(雲中郡)이라 하였다. 광종 때는

  • 고웅주 / 高雄柱 [역사/근대사]

    1923-194.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강원도 정선군(旌善郡)이다. 춘천중학교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재학 중 동학생이던 한인학생들과 함께 독서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38년 학교 내에서 활동하고 있던 상록회(常綠會)가 일본 경찰에게 발각되어 회원 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