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덕적도 / 德積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413명(남 756명, 여 65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48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동남쪽 진리에 집중되어 있다. 이곳에 면사무소가 있으며 섬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1.

  • 덕지강 / 德池江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수동구(水洞區)와 평안남도 양덕군과의 경계에 있는 재령산(1,217m)에서 발원하여 금야군 해중리와 강원도 천내군 염전리 사이에서 동해의 송전만으로 유입되는 강. 길이 101.5㎞, 유역면적 1,176.8㎢, 유역의 평균너비 11.6㎞, 하천

  • 덕천굴 / 德泉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에 있는 용암동굴. 길이 232m. 지층은 신생대 제4기에 분출된 표선리현무암층(表善里玄武岩層)에 속한다. 한국동굴학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한일합동조사에 의하면, 이 동굴은 세계 제일의 동굴시스템인 만장굴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매우 중요

  • 덕천분지 / 德川盆地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덕천시 일대에 형성된 분지. 덕천분지는 동쪽의 금성산(金城山, 571m)에서 서쪽의 월봉산(月峰山, 1,093m)까지 동서의 폭이 약 28㎞, 북쪽의 백애산(白崖山, 1,524m)에서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609m)까지 남북의 길이가 약 23㎞에 달하는 대규

  • 덕항산 / 德項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태백시 하사미동과 삼척시 신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72.9m이다.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는 두타산(頭陀山, 1,355m), 서쪽에는 삼봉산(三峰山, 1,232m), 남쪽에는 매봉산(梅峰山, 1,303m), 동쪽에는 깃대봉(8

  • 도동약수 / 道洞藥水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에 있는 약수. 도동약수는 망향봉(望鄕峰) 아래에 있으며, 토류탄산철천(土類炭酸鐵泉)으로 철분·칼슘·마그네슘·염소·탄산이온이 주성분이며, 빈혈·생리장애·류머티스성질환·습진 등 피부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동약수터 일대는 도동

  • 도봉산 / 道峰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의정부시 호원동에 걸쳐 있는 산. 주요한 탐방코스는 사패산 코스, 망월사∼포대능선∼회룡 코스, 오봉코스 등이 있으며, 북한산 지역과 더불어 연간 500만 명의 탐방객이 찾는 공원으로서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탐방객이 찾는 국립공

  • 도솔봉 / 兜率峯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과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걸쳐 있는 산. 도솔봉의 높이는 1,314.2m이고, 소백산국립공원 구역의 남쪽에 속해 있다. 소백산맥에 속한 소백산ㆍ문수봉ㆍ속리산 등과 더불어 험준한 산지를 형성하여 첩첩산중을 이루고 있다. 도솔봉의 산행은 죽령, 전

  • 도정산 / 渡正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상온포리의 북서쪽 연사군과의 경계에 있는 산. 도정산의 높이는 2,200m이고, 관모봉(冠帽峰, 2,541m)ㆍ입석산(立石山)ㆍ남하석산(南下石山)과 더불어 함경산맥 동북쪽에 솟은 고봉으로서 무산군ㆍ경성군의 분수령을 이룬다. 약 10㎞에 걸쳐서 북쪽으로

  • 도초도 / 都草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에 속하는 섬. 동경 125°57′, 북위 34°42′에 위치하며, 목포에서 서남쪽 54.5㎞ 지점에 있다. 면적은 42.38㎢, 해안선 길이는 42.0㎞이다. 2007년 말 현재 인구는 2,970명(남 1,474명, 여 1,496명)이고 세대수는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