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강병수지 / 講兵須知 [정치·법제/국방]
조선후기 의 군사용어를 풀이한 주석서.군서. 1책. 사본. 책머리에 ‘병자중하(丙子仲夏)’라고만 밝힌 저자의 서문이 있으나 저자와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병학지남 兵學指南』이 군사조련에 있어 가장 긴요한 병서임에도 이에 대한 마땅한 주석서가 없어서 참뜻
강복선 / 姜復善 [종교·철학/유학]
1852(철종 3)∼1891(고종 28) 아버지는 강응주, 어머니는 청주 한씨이다. 유시수를 스승으로 섬겼다. 유시수의 문인 중에 이항로에게 수학했던 홍대심이라는 자가 있어 그와 사우관계를 맺었다. 이익의 문집을 교정하는 일에 참여 요청을 받은 적이 있으나, 끝내 성사
강복성 / 康復誠 [종교·철학/유학]
1550(명종 5)∼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문신. 강중진의 증손, 아버지는 강유선이다. 1579년(선조 12) 사마시에 합격한 뒤, 참봉·직장·찰방 등을 역임하였다. 1595년유성룡의 천거로 장현광 등과 함께 발탁되어 장수현감이 되었으며, 곧 김제군수로 옮
강복중 / 姜復中 [문학/고전시가]
1563년(명종 18)∼1639년(인조 17).조선 중기의 문신. 고조부는 중화재(中和齋)강응정(姜應貞)이며, 아버지는 광흥창봉사강령(姜齡)이다. 학문은 그다지 깊지 않았으나 여러 편의 시조 작품을 남겼다. 시조 작품인 「수월정청흥가(水月亭淸興歌)」 21수에는 청계망사
강봉문 / 姜鳳文 [종교·철학/유학]
1735년(영조 11)∼1815년(헌종 14). 아버지는 강득위이다.유홍원에게서 배웠다. 가문은 비록 한미했지만, 효자로 이름이 높았고, 학문에 힘을 쏟아 그를 따르는 문인이 100여인에 이를 정도로 많았다고 한다. 저서로《옥계유고》가 있다.《옥계유고》는 1829년(순
강산초집 / 薑山初集 [언론·출판]
저자 이서구(1754-1825). 필사본 4권 2책. 표제는 <강산선생초집>으로 되어 있다. <강산초집>은 권1 51제 72수, 권2 54제 70수, 권3 42제 69수, 권4 45제 68수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모두 192제 279수이다.
강상문답 / 江上問答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학자 한홍조가 스승 권상하와 제자들이 당론에 대해 문답한 것을 기록한 문답서. 1책 87장. 필사본. 내용은 강상문답과 후동문답(後洞問答)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뒤에 여러 가지의 서간이 있다. 「강상문답」에서는 권상하에게 회니시말(懷尼始末)주 01)에 관하여
강상찰 / 江上札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문인 권상하가 조카 권섭·권영 등에게 보낸 간찰을 모아 엮은 서간집. 조선 후기의 문인 수암 권상하(權尙夏, 1641∼1721)가 조카 권섭(權燮)·권영(權瑩) 등에게 전한 간찰집으로 15첩이다. 이 첩은 권상하가 조카들의 일상과 학문에 대한 질의에 답한 것
강서마조사가록초 / 江西馬祖四家錄草 [종교·철학/불교]
조선시대 승려 휴정이 중국의 『사가어록』에서 주요 부분을 발췌하여 1650년에 간행한 불교서. 『강서마조사가록초(江西馬祖四家錄草)』는 『사가어록』 16권 중에서 긴요한 대목을 뽑은 책으로, 『사가어록』이란 당나라 마조 도일·백장 회해·황벽 희운·임제 의현 등 4인의 어
강서원일록 / 講書院日錄 [종교·철학/유학]
1759년 8월 9일부터 1761년 7월 5일까지 강서원에서 박성원이 정조의 세손시절 교육과정을 기록한 일지.관청일기. 『강서원일록(講書院日錄)』은 강서원에서 진강을 주관하였던 좌익선(左翊善) 박성원(朴聖源)이 정조의 세손시절 교육과정을 기록한 관청일기로, 현재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