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고전시가 8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고전시가
  • 도동곡 / 道東曲 [문학/고전시가]

    1541년(중종 36)경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주세붕이 편찬한 『죽계지(竹溪誌)』 권1 행후록(行後錄)에 실려 있다. 작가가 안향(安珦)의 옛 집터인 순흥(順興)의 죽계(竹溪)에 문성공사(文成公祠)를 세우고, 영정을 봉안하고 나서 이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 도령가 / 徒領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흥왕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제목과 창작연대가 『삼국사기』 잡지(雜志) 제1악조에 수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 17에 옮겨져 있다. 노래의 가사·해설이 전하지 않으므로, 내용은 물론 형식을 전혀 알

  • 도산12곡 / 陶山十二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이황(李滉)이 지은 시조. 12수의 연시조. 작자는 이 작품을 전육곡(前六曲)·후육곡(後六曲)으로 나누고, 전육곡을 ‘언지(言志)’, 후육곡을 ‘언학(言學)’이라 이름 붙였다. 『언지』는 천석고황(泉石膏肓)의 강호은거(江湖隱居)를 읊었고, 『언학』은 학문과

  • 도산별곡 / 陶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조성신(趙聖臣)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22구이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축이며, 2·3조, 2·4조, 4·4조 등도 보인다. 『염와유고(恬窩遺稿)』와 『노계선생문집(蘆溪先生文集)』(중간본, 1904)에 전한다. 『노계선생문집』에는 ‘

  • 도산육곡 / 陶山六曲 [문학/고전시가]

    李滉(1501∼1570)이 지은 연시조 ‘陶山六曲’의 친필 목판 인쇄본. 퇴계 이황이 지은 12수의 연시조(聯詩調)를 「도산십이곡」이라 하는데, 이황은 이별(李鼈)의 육가(六歌)를 모방하여, 「육곡」 하나에서는 ‘지(志)’를 말하고, 또 하나에서는 ‘학(學)’을 말하였

  • 도솔가 / 兜率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유리왕 때 지은 작자 미상의 가악. 신라 유리왕 때 지은 작자 미상의 가악.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이사금 5년조와 『삼국유사』 노례왕조에 작품명과 짧은 설명이 전한다. 『삼국사기』에는 “이 해에 민속이 환강하여 「도솔가」를 처음으로 지으

  • 도솔가 / 兜率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경덕왕 19년(760)에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향가. 『삼국유사』 권5 월명사 도솔가조에 전한다. 760년 4월 초하룻날 두 해가 함께 나타나서 10여일간 없어지지 않자, 왕이 일관(日官)의 청으로 청양루(靑陽樓)에 행차하였다. 왕이 청양루에서 연승(緣僧)인 월

  • 도이장가 / 悼二將歌 [문학/고전시가]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신숭겸(申崇謙)의 행적을 기록한 문헌 『평산신씨장절공유사 平山申氏壯節公遺事』에 그 제작동기에 관한 소상한 기록과 함께 작품이 전한다. 창작경

  • 도천수관음가 / 禱千手觀音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경덕왕 때 희명(希明)이 지은 향가. 전체 노래가 10구절로 나누어지므로 흔히 십구체(十句體) 향가로 인정받고 있다. 현대어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무릎을 곧게 하고 두 손바닥을 모아 천수관음(千手觀音) 앞에 비옵나이다. 천 손의 천 눈을 하나를 놓아 하나를

  • 도해가 / 渡海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고종 때 조희백(趙熙百)이 지은 기행가사. 내용은 4단으로 짜여 있다. 기사(起詞)에서는 함라태수(咸羅泰守)에 제수되어 임지에 부임하여 집무하는 사실을 노래하였으며, 승사(承詞)에서는 팔읍봉세(八邑捧稅)의 세곡 조운을 위하여 서울로 향하여 출발하는 사실을 담았다.

페이지 / 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