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황해 / 黃海 [예술·체육/영화]

    1922-.영화배우. 본명은 전홍구, 강원도 장전 출생. 1939년 당시 황금좌 전속악극단 성보에 입단하여 배우 및 가수로 연예계에 데뷔했다. 1943년 만주 천진에서 악극단 신태양에 입단하여 중국 각지를 순회공연하다가 항주에서 광복을 맞아 1946년에 귀국했다. 19

  • 황해도 / 黃海道 [지리/자연지리]

    지명. 조선 팔도의 하나. 태조 3년 6월에 서해도(西海道)가 풍해도(豊海道)로 개칭되고, 다시 태종 17년 12월에 풍해도가 황해도(黃海道)로 개칭되었다.

  • 황해도방언 / 黃海道方言 [언어/언어/문자]

    황해도에서 쓰이는 방언. 황해도는 평안도와 경기도 사이에 위치하는 까닭에 이 지역 방언은 전이방언권(轉移方言圈)의 성격을 지닌다. 도의 서북부 지역은 황해도만의 독자적인 방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북부의 황주·수안 등은 평안도방언의 특징이, 남부의 금천·연백은 경

  • 황해도평산소놀음굿 / 黃海道平山─ [문학/구비문학]

    황해도 평산 지방에서 전승되던 굿 형식의 민속극. 중요무형문화재 제90호. 경사(慶事)굿 중 제석(帝釋)거리에 이어 행하여지며, 농경의례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황해도 평산에서 1947년 월남하여 강화도에 정착한 무녀 장보배(張寶培)가 고향에서 배웠던 소놀음굿을 195

  • 황해수 / 黃海水 [역사/근대사]

    1895-1948.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장수(長水)이고, 출신지는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이다. 1919년 3월 23일 전라북도 둔남면(屯南面) 오수리(獒樹里)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이기송(李起松)과 오병용(吳秉鎔) 등이 함께 하였다. 오수리 장터에서

  • 황헌 / 黃瓛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후기의 문신. 황처신의 아들, 황선의 동생이다. 형으로부터 학문을 배워 1747년(영조 23) 진사가 되고 1750년 제릉참봉으로 관직생활을 시작, 여러 관직을 거쳐 형조정랑을 역임하였다. 성품이 돈후하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후일 대제학·판돈령부사를

  • 황혁 / 黃赫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1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신. 황기준 증손, 할아버지는 황열, 아버지는 황정욱, 어머니는 조전의 딸이다. 기대승의 문인이다. 1580년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집의·사간을 역임한 뒤 우승지가 되어 1591년 정철이 건저문제로 위리안치

  • 황현 / 黃玹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순국지사·시인·문장가(1855∼1910). 갑신정변 때 성균관 생원으로서 무능·부패한 정부에 환멸을 느끼고 낙향하여 시 짓기에 전념하였다. 1910년 국권피탈을 당하자 통분하여 절명시 4수를 남기고 다량의 아편을 먹고 자결하였다. 저서로《매천야록》이 있다

  • 황형 / 黃衡 [종교·철학/유학]

    1459(세조 5)∼1520(중종 15).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황예헌, 어머니는 남인보의 딸이다. 1480년(성종 11)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도정, 의주목사, 회령부사, 함경도병마절도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황호직 영천군수 해유문서 / 黃浩直 永川郡守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87년(고종 25) 7월 13일 후임관이 병조에 올린 첩정이다. 이 문서는 앞부분의 내용이 결락된 상태이므로 전임관에 대한 자세한 내용 파악이 어렵다. 다만, 창원황씨(昌原黃氏) 인물 가운데 1886년(고종 23) 정월에 영천군수에 임명된 고신(告身)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