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상재상서 / 上宰相書 [종교·철학]
호교를 논한 책. 정하상이 지었다. 정약종의 둘째아들인 정하상은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체포될 것을 예상하여 이 글을 작성하여 자신이 체포되자 우의정 이지연에게 전달케 하였다. 주요내용은 천주교 교리의설명, 호교론, 신교의 자유에 대한 호승 등이다. 이 글은 1887년 홍
상제교전 / 上帝敎典 [종교·철학/신종교]
상제교의 교리서. 1920년 최유현이 시천교총부에서 편집 간행하였다. 원래는 '시천교전'이었으나 나중에 '상제교전'이라고 제목을 바꾼 흔적이 있다. 그 이유는 시천교가 1925년에 상제교로 교명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천주장, 인생장, 시천장, 입교장, 도심장,
상주동학교당유물 / 尙州東學敎堂遺物 [종교·철학/천도교]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 동학교당(전통건조물 10호)에 소장되어 있는 동학 관련 유물.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11호. 지정된 유물은 총 177종 1,084점으로 전적이 100종 131점, 판목 67종 792판, 복식 6종 31점, 유물 4종 130점이며, 제작시기
서거정 / 徐居正 [종교·철학/유학]
1420(세종 2)∼1488(성종 19). 조선 전기의 문신. 익진 증손, 할아버지는 의, 아버지는 미성이다. 어머니는 권근의 딸이다. 최항이 그의 자형이다. 조수·유방선 등에게 배웠으며, 학문이 매우 넓어 천문·지리·의약·복서·성명·풍수에까지 관통하였다. 훙문관부수
서경덕 / 徐敬德 [종교·철학/유학]
1489-1546. 조선 중종 때의 성리학자. 독학으로 공부하였으며 평생을 안빈낙도의 자세로 학문하였다. 그는 장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이를 기의 작용에 대한 법칙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기의 선후문제에 있어서 이가 기보다 선행한다고 보지 않았다. 이러한 입장은
서경보 / 徐耕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1∼1839). 종태의 현손, 증조는 명균, 할아버지는 지수, 아버지는 유신이다. 이조판서 영보의 동생이다. 음보로 순창·예천의 군수를 지내다가, 1825년 장원으로 급제, 대사성이 되었다. 1828년 전라도감찰사로 부임하였으나 탄핵을 받고 파
서계집 / 西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박세당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판본. 서·발·부록 등이 없어 편저의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제1책에 총목이 있고, 다시 각권 머리에 목록이 실려 있다. 권1∼4에 시, 권5에 소차, 권6에 소차·계사·공함, 권7에 서·변론·서(序), 권8
서기수 / 徐淇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1∼1834). 1801년 급제 후 한림원기거주가 되었으나 곧 모함으로 유배되었다. 5년의 유배생활 동안 오직 독서에만 전념하였다. 풀려나자 백두산을 유람한 뒤 〈유백두산기〉를 썼다. 이후 세자시강원문학, 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 등을 지냈다.
서남동 / 徐南同 [종교·철학/개신교]
1918년∼1984년. 신학자·개신교 목사. 전라남도 신안 출생. 전주 신흥학교, 일본 도시샤대학 신학과를 거쳐 캐나다 터론토 임마누엘신학교에서 신학석사 과정을 마쳤다. 대구에서 목회활동을 하다가 한국신학대학과 연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그는 종래의 그리스도론적인
서명응 / 徐命膺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16∼1787). 정리 증손, 할아버지는 문유, 아버지는 종옥, 어머니는 이집의 딸이다. 영의정 명선의 형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이용후생을 추구하였는데, 이는 아들 서호수와 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