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암서원 / 考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정읍시 상평동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 6월 지방유림이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같은 해 9월 ‘考巖(고암)’이라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785년(정조 9)에 송시열의 수제자인 권상하(權

  • 고암서원 / 高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에 있던 서원. 1694년(숙종 20) 지방유림의 공의로 진극순(陳克純)·황신구(黃信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가, 후일 진준(陳遵)·한양오(韓養吾)·진위(陳偉)·한상기(韓尙箕)의 위패를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

  • 고암유고 / 顧菴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정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석판본. 1936년 그의 10대손 상필(相弼)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성두식(成斗植)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상필·인식(麟植)·창식(昌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 고암집 / 古巖集 [종교·철학/유학]

    김세락의 문집. 석인본, 8권 4책. 권1에는 사 <차귀거래사>와 시127 제180수, 권2에는 시108제166수와 소 <청참오적물허왜청소>. 권3에는 서 44편, 권4에는 잡저로 <한명제구불법론> <고암설>, <효감설>, <양화설>, <유주왕산록>, <동유록>과 서1

  • 고암집초 / 鼓巖集抄 [역사/근대사]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황병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편찬한 문집. 목활자본. 이 책은 시와 산문, 그리고 전우(田愚)에게 보낸 서한문 4편, 최익현(崔益鉉)에게 보낸 서한문 2편, 묘지명 1편, 선고학생부군행장(先考學生府君行狀) 1편, 의사전(義士傳)

  • 고압아전기 / 古押衙傳奇 [문학/고전산문]

    당나라 설조(薛調)가 지은 전기소설(傳奇小說)의 번역본. 『고압아전기』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당나라 때 유진(劉震)의 딸 무쌍(無雙)과 이종사촌인 왕선객(王仙客)은 정혼한 사이였다. 하지만 요령언(姚令言)의 반란으로 유진의 가족은 모두 죽고 무쌍만 살아남아 궁에 들

  • 고양 봉성암 전성능대사 부도 / 高陽奉聖庵傳聖能大師浮屠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봉성암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성능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석조 불탑.사리탑. 시도유형문화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8호. 봉성암은 1713년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이던 성능대사(聖能大師)가 북한산성 축성 시 산성의 수비를 위하여 25칸 규모로 건립한

  • 고양 송포 백송 / 高陽 松浦 白松 [과학/식물]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에 있는 백송. 천연기념물 제60호. 높이는 10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2.9m, 가지의 길이는 동서로 14.8m, 남북으로 14m이다. 지상에서 1.4m 높이에서 줄기가 두 개로 갈라졌으며, 여기서 56㎝쯤 올라가서 다시 두 개로 갈라

  • 고양 원각사 달마대사관심론 / 高陽圓覺寺 達磨大師觀心論 [종교·철학/불교]

    중국 선종의 초조 보리달마가 심론에 대해 제자와 주고받은 문답 내용을 정리한 불교서.선종서. 내용은 달마대사와 그의 수제자이자 중국 선종의 2조가 되는 혜가가 주고받은 문답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그 요지는 불도의 요점을 묻는 혜가의 질문에 대해 달마가 마음이 만법의 근

  • 고양 원각사 수륙무차 평등재의 촬요 / 高陽圓覺寺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종교·철학/불교]

    서흥 자비령사에서 수륙재의 제반 의식에 필요한 절차를 정리하여 1490년에 간행한 의례서.불교의례서. 이 책은 물과 뭍에서 살다 죽은 무주고혼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지내는 의식과 절차를 기록한 것이다. 수륙재는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과 아귀를 위로하기 위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