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아우내3·1운동독립사적지 / 아우내三一運動獨立史蹟址 [역사/근대사]
충남 천안시 병천면 병천리와 탑원리에 있는 유관순 열사의 독립운동 지역과 추모각 지역. 충청남도 기념물 제58호. 독립운동지역은 3·1운동 당시 아우내 장터로 유관순 열사가 만세를 불렀던 지역이다. 유관순열사기념사업회가 1947년 병천시가지가 내려다 보이는 구미산에 기
아이동무 [언론·출판/언론·방송]
평양노회 주일학교 협의회를 중심으로 하고 평양 숭실전문학교의 필진들이 1933년 5월 15일에 국한문으로 내리 편집하여 매월 발행한 잡지. 이 잡지는 권두언, 일요페이지, 전기, 강화, 문예, 독자문예, 잡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생활 [언론·출판/언론·방송]
1926년 3월 1일에 조선 주일학교연합회가 창간하여 한글로 내리 편집하고 어린이를 위한 월간 잡지로 발행. 이 잡지는 권두사, 전기, 훈화, 동화, 독자문단, 잡문, 회보, 사설, 교양, 역사전기, 소설, 유아페이지, 동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주기행 / 亞洲紀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박영철(朴榮喆), 송순섭(宋淳燮) 편, 권양채(權陽采) 교. 신연활자본, 장학사(1925), 3권 1책.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의 기행문이다. 포각되어 있다.
아지씨구묘견전급신묘평사제진설도 / 阿只氏舊墓遣奠及新墓平士祭陳設圖 [정치·법제]
요절한 왕자나 왕녀, 왕손의 묘소를 이전할 때 관을 상여에 옮기기 전에 지내는 견전제와 새로 조성된 묘에서 평토제를 지낼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아지씨묘파구분고유제진설도 / 阿只氏墓破舊墳告由祭陳設圖 [정치·법제]
요절한 왕자나 왕녀, 왕손인 묘를 이장하기 전에 이장 사실을 묘의 주인에게 제사를 지낼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악극 / 樂劇 [예술·체육/연극]
경음악이 주가 되고 무용이 곁들여지는 연극양식. 우리 나라의 악극은 1920년대 말엽에 생겨났다. 처음 발생된 요인은 관객의 지루함을 없애 주고 분위기를 돋우는 막간쇼의 필요에 의해서이다. 악극단이 크게 번성한 것은 1940년대에 들어서였는데, 예술의 암흑시대였기 때문
악부 / 樂府 [문학/고전시가]
19세기 초·중반 가람본 『흥비부』를 전사한 가집. 책수는 제책상(製冊上) 건·곤(乾坤)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수록된 내용을 가곡의 악곡 단위로 구분할 경우, 4권 2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편(乾篇) 1책 전부는 제1권으로 가람본 『흥비부』를 거의 전면적으로
악수례 / 握手禮 [생활/민속]
인사를 나누기 위해서 손을 잡는 예절. 악수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는데, 동성간에는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에게, 선배가 후배에게, 기혼자가 미혼자에게 먼저 손을 내밀어서 악수를 청한다. 여성은 남성과 악수를 하지 않는 것이 보통인데, 여성쪽에서 손을 내밀었을 때에는 남성은
악의전단전 / 樂毅田單傳 [문학/고전산문]
청나라 연수산인(煙水散人)이 지은 『악전연의(樂田演義)』의 번역본. 구활자본. 1책. 『악전연의』는 ‘후칠국지(後七國誌)’ 또는 ‘후칠국지악전연의(後七國誌樂田演義)’라고도 한다. 중국본 『악전연의』는 20회본과 18회본 두 가지가 있는데, 구활자본 『악의전단전』은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