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삼운통고 / 三韻通考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편찬된 운서. 1책. 편자, 연대 미상. 내용은 평·상·거·입성 등 사성 순으로 한자를 배열한 106운계『예부운략』을 우리나라 사람이 이용하기 쉽도록 같은 운을 가진 평·상·거성 한자들을 한데 모아 3계단으로 나열, 입성자만 책 끝에 따로 모아 나열하는 방식
삼일신고 / 三一神誥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삼일신고><천부경><팔리훈><신사기> 등의 계시경전과 나철이 저술하고 서울이 주해를 붙인 <신리대전>, 서일이 저술한 <회심경> 그리고 윤세복이 임오교변 당시 저술한 <삼법회통>이 있다. 이 중에서 천부경, 삼일신고, 팔리훈은 각각 조화경, 교
삼일재현운동 / 三一再顯運動 [종교·철학/천도교]
1948년 북한의 천도교인들이 남북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벌인 운동. 1947년 8월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통일을 염원하던 천도교 원로들은 인구비례로 총선을 실시하여 통일정부를 수립한다는 유엔 결의를 찬성하고 유엔 한국위원단의 내한을 환영하였다. 그러나 북한측
삼전론 / 三戰論 [종교·철학/천도교]
1903년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가 일본에 머무르면서 지은 글. 삼전(三戰)이란 도전(道戰), 재전(財戰), 언전(言戰)을 말한다. 손병희는 일본과 러시아라는 강국 사이에 처한 조선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보고, 국민이 합심단결하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
삼조보감 / 三朝寶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 정조·순조·익종의 사적을 수록한 책. 14권 4책. 목판본. 세종의 명령으로 편찬이 시작되고 세조대에 첫 번째 책이 나온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이 책은 조인영 등이 헌종의 명령을 받아 1848년(헌종 14)에 완성한 것이다. 앞머리에 헌종의
삼존불 / 三尊佛 [종교·철학/불교]
본존불과 좌우 양편에 모시고 있는 불보살을 함께 일컫는 말. 우리나라의 사찰 전각 안에는 대부분 주불이 좌우부처를 거느린 삼존불로 봉안되어 있다. 모든 본존불과 협시보살과의 관계는 본존불의 권능을 협시보살이 대변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삼존불로는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삼학팔조 / 三學八條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수련요법. 삼학은 인격완성의 세 가지 공부법으로서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를 말하며, 팔조는 삼학을 촉진시키는 신, 분, 의, 성과 삼학수행에서 버려야 할 불신, 탐욕, 나, 우를 말한다. 삼학은 원불교의 종지인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고 이를 실현해 나가
상례비요 / 喪禮備要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신의경이 찬술한 상례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2권 1책. 목판본. 이 책은『가례』의 상례관계의 본문을 중심으로, 『예경』과 여러 학자들의 이에 관한 해석을 참고, 유취하여 초상에서 장제에 이르는 모든 예절을 요령 있게 찬술하였다. 그리고 사당·신주·
상례편람 / 喪禮便覽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주가 편찬한 상례와 제례에 관한 책. 2권 1책. 필사본. 김정주의 서문에 의하면 1829년(순조 29)에 착수하여 1831년에 완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사본은 1869년(고종 6)에 필사한 것이다. 제1권에 초종·성복·오복·상상·강복·조·분
상원사 / 上院寺 [종교·철학/불교]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에 위치한 사찰. 705년 보천과 효명이라는 두 왕자에 의해서 진여원이란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1376년 중창되었다. 1946년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었으나 1947년 월정사 주지였던 이종욱에 의해 중창되었다. 현재에도 전국 수도승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