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홍충희 / 洪忠熹 [역사/근대사]
1878-1946. 독립운동가. 서울 출생. 호는 우봉(禹峰). 1903년 대한제국 무관학교 보병과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육군부위(陸軍副尉)를 지냈다.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가운데의 한 사람인 권동진(權東鎭)을 도와 참여한 뒤 김규식(金奎植)·김찬수
홍치중 / 洪致中 [종교·철학/유학]
1667(현종 8)∼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명구 증손, 할아버지는 중보, 아버지는 득우, 어머니는 김경여의 딸이다. 1706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이 되었다. 그 뒤 형조판서, 병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홍택하 / 洪宅夏 [종교·철학/유학]
1753년(영조 29)∼1820년(순조 20).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부친은 홍구길, 생부는 홍구명이다. 이상정과 최흥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86년(정조 10) 식년시 을과 4위로 문과 급제하여 관직이 돈령부도정에 이르렀으나 사직하였다. 이후 경상북도 군위
홍패식 / 紅牌式 [역사/조선시대사]
문·무대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내려 주는 합격증서. 홍색용지에 구관·성명과 문·무과, 갑·을·병과의 구분, 성적 순위를 기입하며 교지의 형식을 따랐다. ‘과거지보(科擧之寶)’를 찍었다.
홍포서원 / 鴻浦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에 있는 서원. 1782년(정조 6)에 윤환(尹桓, ?∼1387), 윤자당(尹子當), 윤지(尹志), 윤석보(尹碩輔, ?∼1505), 윤탁연(尹卓然, 1538∼1594) 등 칠원윤씨 5인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868년(고종 5)
홍학순 / 洪學淳 [역사/근대사]
1902-1934. 독립운동가. 일명 홍학원(洪學元)·홍학(洪學).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19년 3·1운동 후 만주로 망명, 1924년 무장 항일운동단체인 대한통의부(大韓通義府) 제5중대에 입대하여 국내에서 일본경찰과 접전하면서 군자금모금활동을 전개하였다. 192
홍학연 / 洪學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7∼1852). 강원도암행어사·대사성을 거쳐 공조참의·이조참판·도승지·대사헌에 이어 광주부유수에 이르러 기로소에 들어갔다. 1850년 지경연사·지춘추관사·도총관이 되고, 이듬해 공조판서가 되었다. 역대의 사적과 국조의 전장에 널리 통하였고,
홍한 / 洪瀚 [종교·철학/유학]
1451(문종 1)∼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자경 증손, 할아버지는 익생, 아버지는 귀해, 어머니는 민효열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85년(성종 1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490년 지평을 거쳐 1493년 헌납이 되었다. 1495년(연산
홍해성 / 洪海星 [예술·체육/연극]
1893-1957. 연출가. 본명은 재원(在遠). 대구 출생. 1920년 봄에는 김우진(金祐鎭)·조명희(趙明熙) 등과 함께 극예술협회를 조직하였다. 1921년에는 이 회원들이 주동이 된 동우회 순회연극단의 일원으로서 조명희가 쓴 〈김영일(金英一)의 사(死)〉의 연출을
홍현보 / 洪鉉輔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주원 증손, 할아버지는 만용, 아버지는 중기, 어머니는 이민서의 딸이다. 1718년(숙종 44) 정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저작에 임명되었다. 1725년(영조 1) 수찬으로 있을 때 탕평책을 상소하여 왕으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