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식 / 故寔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김희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878년(고종 15) 김희락의 손자인 김철수(金喆銖)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총서(總序)가 있고, 권말에 권영하(權泳夏)와 김철수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주자대전강의십조차자(朱子大全講義十條箚子

  • 고신 / 告身 [역사/조선시대사]

    관직을 줄 때에 각기 수직자에게 내어주는 수관증서. 태조 원년 10월에 여조 이래의 고신서경법을 개혁하여 1품에서 4품까지는 왕지를 내려서 관교라 하고, 5품에서 9품까지는 문하부에서 ‘봉교급첩’하는 형식으로 이를 교첩이라 하였다.

  • 고신 / 拷訊 [정치·법제/법제·행정]

    매질을 하면서 원하는 내용의 진술을 얻어내려는 진술 강요 수단. 피혐의자가 혐의사실을 부인하면서 자백하지 않으면 명백히 유죄인데도 상응하는 형벌을 과할 수 없으므로 마땅한 형벌을 과할 수 있게 한다는 뜻에서 고신이 허용되었다.

  • 고신대학교 / 高神大學校 [교육/교육]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사립종합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총회가 운영하는 대학으로서, 1946년 9월 목사 주남선(朱南善)·한상동(韓相東)이 고려신학교(高麗神學校)로 설립하였다. 1945년부터는 2년제 예과를 4년제로 연장, 교육하다가 1971년 고려신학

  • 고싸움놀이 [생활/민속]

    광주광역시 광산구 칠석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중요무형 문화재 제33호. 과거에는 광산지방뿐만 아니라 장흥·강진·영암 등 주로 전라남도일대에서 정월대보름 전후에 행하던 격렬한 남성집단놀이이다. 둥그런 모양의 ‘고’를 만들어서 서로 맞부딪쳐 싸워 승부를 가리는 놀이로서,

  • 고씨효절록 / 高氏孝節錄 [문학/고전산문]

    1944년 이씨 부인이 딸 고영옥의 일생을 기록한 산문. 1책(102면). 한글필사본. 작품 말미의 기록에서 이 작품은 70세 된 어머니가 딸의 파란만장한 일생을 가련히 여겨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갑신 졍월에 필셔ᄒᆞ엿노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 작품의 서

  • 고암문집 / 古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세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석판본. 1969년 그의 조카 병하(秉河)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권1·2에 사(辭) 1편, 시 268수, 소

  • 고암문집 / 古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38년 그의 5대손 원기(元基)가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원기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시 21수, 부 2편, 서(書) 8편, 잡저 2편,

  • 고암문집 / 顧菴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종연의 서·제문·잡저·만사 등을 수록한 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11년 족질 상각(相慤)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상각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권1에 시 56수, 서(書) 19편, 권2·3에 잡저 6편, 제문 13편, 권

  • 고암산 / 高巖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철원군 북면과 평강군 서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780m. 금학산·효성산 등과 함께 태백산맥의 북단을 구성하고 있다. 901년 궁예(弓裔)가 후고구려를 세운 뒤 904년 이 산을 진산(鎭山)으로 하여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쳤다. 부근에는 군사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