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김간 / 金榦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참봉 김수에게 입양되었다. 박세채·송시열의 문인이다. 학행으로 천거되어 1694년(숙종 20) 전설사별검·청양현감을 거쳐 지평·집의 등을 지냈고, 1720년 호조참의, 1726년(영조 2) 찬선·대사헌·우참

  • 김감 / 金勘 [종교·철학/유학]

    1466(세조 12)∼1509(중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문정공 자지의 증손,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수, 아버지는 안동대도호부사 원신, 어머니는 강석덕의 딸이다. 1489년(성종 20) 진사가 되었고, 이어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정자에 임용되었다. 1

  • 김감불 / 金甘佛 [과학/과학기술]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기술자. 연산군 때에 함경도 단천에서 김검동(金儉同)과 함께 납광석을 사용하여 은을 제련, 분리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조선시대의 독특한 방법인 이 단천연은법(端川鍊銀法)은 중국이나 일본의 제련법과 다른 점이 많으나 회취법(灰吹法)이라는 것은

  • 김강한 / 金江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719∼1779). 김성탁이 호남의 광양에서 귀양살이할 때 그곳에 따라가서《대학》·《중용》·《서명》·《주자행장》 등을 공부하였다. 김성탁의 문하에 들어간 지 9년 만에 스승이 죽자, 그 아들 구사당 김낙행의 문하에서 배웠다. 평생 동안 성리를 멀리

  • 김개국 / 金蓋國 [종교·철학/유학]

    1548(명종 3)∼1603(선조 36). 조선 중기의 문신. 세형의 증손, 할아버지는 복흥, 아버지는 몽득, 어머니는 이극온의 딸이다. 1573년에 사마시에 합격, 생원이 되고 159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뒤에 집의가 추증되었고, 1643년(인조 21)

  • 김개남 / 金開南 [종교·철학]

    1853년(철종 4)∼1895년(고종 32). 동학의 태인대접주. 1891년 두령, 즉 접주가 되었다. 이해 처음으로 이곳에 순회 온 동학의 제2세교조 최시형을 만나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1894년에 때마침 전봉준이 선봉에 나서서 고부민란을 일으키자, 손화중과 함께

  • 김건수 / 金健壽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66년(고종 3). 조선 후기 성리학자. 학봉 김성일의 후손, 부친은 김백찬이다. 부인은 전주유씨이다. 정재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37년(헌종 3) 식년시 진사 3등 67위로 합격하였다. 1847년(헌종 13)에 스승 유치명과 함

  • 김경서 / 金景瑞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무신. 일찍이 무과에 급제, 1588년(선조 21) 감찰이 되었으나 집안이 미천한 탓으로 파직되었다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다시 기용되었다. 전라도병마절도사, 정주목사, 평안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 김경수 / 金景壽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21(광해군 13).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의금부도사 응정, 어머니는 조숙견의 딸이다. 유년 시절에 큰아버지인 응두에게『효경』·『소학』 등을 배운 뒤 족형인 김인후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기효간·정운용·변이중 등과 학문을 강론하였다. 군

  • 김경여전 / 金慶餘傳 [문학/고전산문]

    1655년(효종 6) 김진수(金震粹)가 지은 김경여(金慶餘)의 전기. 작자가 한문으로 짓고, 그의 할머니 송씨 부인이 1658년에 국역하였다. 한문본은 『가장략(家狀略)』이라 하며,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는 『송애속집(松崖續集)』 권2에 실려 있는 목판본이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