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연창지 / 煙窓紙 [생활/주생활]
주로 창호에 바르기 위해 사용하는 종이. 덧문이나 덧창 등의 창호에 바르는 용도, 즉 창호지로 사용하는 종이이다. 그러나 연창지를 만드는 재료나 제작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연천향교 / 漣川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지혜로(차탄리)에 있는 향교. 1407년(태종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10년 이후 학술강습소로 사용되다가 1916년 보통학교로 개편되었으며, 1941년 일제의 강압으로 연천군 마전
연풍향교 / 延豊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에 있는 향교. 1515년(중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50년 6·25사변 때 명륜당이 소실되었으며, 1978년에 대성전을 중수하고 1979년에 명륜당을 중건하였다. 현존
연하여 / 連하여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대체로 편지의 앞부분에 나타난다. 이어서, 즈음하여 정도로 파악할 수 있는 용어이다.
연향 / 宴享 [역사/조선시대사]
연은 악을, 향은 헌을 뜻함. 연향은 술과 음식을 준비하고 풍악을 울려 군신이나 빈객을 대접하는 행사. 연향의 종류에는 군신을 위로하는 회례연, 80세 이상의 대소원인을 위한 양로연 및 단오·추석과 같은 명절, 행행, 강무와 같은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의 연향과 충훈
연형제곡 / 宴兄弟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 권57 세종14년조에 예조(禮曹)에서 이 노래를 악부(樂部)에 올려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예조의 관원들이 주관하여 세종 때 지은 작품으로 추정된다. 세종이 형제간의
염간 / 鹽干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연해 주군의 염분에서 직접 자염에 종사한 신분 계층. 염간의 존재는 조선 초기 정종 1년(1399)에 나타난다. 그러나 실제로는 건국 전까지 세습적으로 공역을 부담하였던 염호에서 유래되었다. 섬이나 연해 주군에서 소금 굽는 일에 종사하는 자로서, 염창에 일정
염창 / 鹽倉 [경제·산업/경제]
세염의 보관 창고. 염분이 있는 곳을 염소라 하고, 염소로부터 거두어지는 세염을 이곳에 보관하였다. 염소의 염간은 염창을 단위로 파악되었다.
영 / 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관서의 정5품 관직. 소격서·종묘서·사직서·평시서·사온서·의영고·장흥고 등의 장관이다. 한편, 종친부에 소속된 영은 정5품직으로, 이는 1443년(세종 25) 12월에 종친의 관계를 정하면서 경(卿)·윤(尹)·정(正)·영·감(監)·장(長)의 관직을 정할
영가 / 靈駕 [정치·법제]
국장 발인 의식 때의 행렬을 지칭하는 말. 국장 발인 의식을 거행할 때 국왕의 재궁을 안치한 가마를 중심으로 한 전체 행렬 혹은 재궁을 안치한 가마를 지칭하여 영가라 부른다. 발인 행렬에는 재궁을 안치하는 대여, 능소에 올라갈 때 쓰는 견여, 혼백함을 안치하는 신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