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2,22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홍중인 / 洪重寅 [역사/조선시대사]

    1677년(숙종 3)∼1752년(영조 28).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양경(亮卿), 호는 화은(花隱), 본관은 풍산(豊山)이다. 1714년(숙종 40) 성균관유생이 되었고, 선릉참봉(宣陵參奉)‧원주목사‧첨지중추부사‧돈령부도정 등을 지냈다. 편서로 『아주록(鵝州錄)』‧

  • 홍진 / 洪震 [역사/근대사]

    1877-1946.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만호(晩湖·晩悟). 경술국치 후 변호사로서 독립운동가를 위한 법정투쟁에 나섰다. 3·1운동 후 상해 망명, 임시정부 의정원의장·국무령 등을 지냈다. 김구와 한국독립당 조직, 한국광복진선 운영간부로 뽑혔다. 건국훈장 국민장

  • 홍진수 / 洪鎭洙 [역사/근대사]

    1885-1957.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북도 성주(星州)이다. 1919년 4월 2일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星州邑)에서 시행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이 운동은 김희규(金熙奎)·송규선(宋圭善)·송문근(宋文根)·송수근(宋壽根)·송우근(宋祐根)·송인집

  • 홍찬섭 / 洪燦燮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충청남도 천원 출신. 1919년 3월 경기도 안성군 양성면 칠곡리에서 이유석(李裕奭)·이근수(李根洙)·이덕순(李德順)·최은식(崔殷植)·이희룡(李熙龍)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였다. 4월 1일 오후 8시경 원곡면사무소 앞에

  • 홍충희 / 洪忠熹 [역사/근대사]

    1878-1946. 독립운동가. 서울 출생. 호는 우봉(禹峰). 1903년 대한제국 무관학교 보병과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육군부위(陸軍副尉)를 지냈다.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가운데의 한 사람인 권동진(權東鎭)을 도와 참여한 뒤 김규식(金奎植)·김찬수

  • 홍패식 / 紅牌式 [역사/조선시대사]

    문·무대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내려 주는 합격증서. 홍색용지에 구관·성명과 문·무과, 갑·을·병과의 구분, 성적 순위를 기입하며 교지의 형식을 따랐다. ‘과거지보(科擧之寶)’를 찍었다.

  • 홍학순 / 洪學淳 [역사/근대사]

    1902-1934. 독립운동가. 일명 홍학원(洪學元)·홍학(洪學).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19년 3·1운동 후 만주로 망명, 1924년 무장 항일운동단체인 대한통의부(大韓通義府) 제5중대에 입대하여 국내에서 일본경찰과 접전하면서 군자금모금활동을 전개하였다. 192

  • 홍효선 / 洪孝善 [역사/근대사]

    1879-1932. 독립운동가. 경기도 화성 출신.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까지 송산면 사강리 일대에서 홍면(洪)·왕광연(王光演)·문상익(文相翊)·홍명선(洪明善)·김교창(金敎昌) 등이 주동하여 일으킨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3월 26일 송산면사무소 앞에

  • 화순대초리지석묘 / 和順大草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에 위치한 고인돌 떼. 고인돌은 조치(鳥峙)마을과 대초(大草)마을에 나누어져 있다. 그러나 형식은 약간 다르다. 조치마을의 고인돌은 받침돌[支石]이 있는 제4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뚜껑돌식[蓋石式]에 속한다. 즉, 하부구조로서 지하에 간단한

  • 화순월산리지석묘 / 和順月山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월산리에 있는 지석묘 유적. 1981년광주시의 식수원을 해결하기 위한 동복(同福)댐을 건설하면서 행하여진 조사발굴에서 2기의 지석묘가 발굴되었다. 형식은 바닥에 수매의 판석을 깔고 할석으로 벽을 쌓아서 석실을 만든 뒤 그 위에 커다란 상석을 덮은

페이지 / 223 go